안양암 마애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서울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안양암의 관음전에 있는 근대기에 조성된 관음보살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安養庵 磨崖觀音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9년 11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130-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안양암의 관음전에 있는 근대기에 조성된 관음보살좌상.
내용 및 특징

안양암 마애 관음보살좌상은 조성 연도, 존상명, 조성에 참여한 장인과 소임자, 그리고 시주자까지 알 수 있는 근대의 대표적인 불교조각이다. 명문은 관음전 좌측 바위 면에 새겨져 있는데, 불화를 그렸던 화승(畵僧)이 밑그림을 그리고, 석공(石工)과 각수(刻手)가 바위에 새긴 것을 명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얕은 감실 안에 봉안되어 있는데 이 보살상의 머리 위에는 ‘관음전’이라는 전각명이 새겨져 있다. 이 현판을 받치는 형태로 연꽃이 새겨진 원통형과 팔각형이 상하로 결합한 돌기둥이 좌우로 배치되어 전각 같은 느낌을 준다. 화불(化佛)이 새겨진 보관을 쓰고 있는데 보관은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보관의 봉황 머리로 된 관꽂이에는 특이하게도 술이 달린 장식이 표현되어 있다. 얼굴은 방형으로 미간에는 백호가 표현되어 있다. 입술은 붉게 채색되어 있고, 콧수염과 턱수염이 그려져 있다. 두 귀는 어깨에 닿을 정도로 크게 표현되었는데, 특히 귓불이 두텁게 표현된 점이 눈에 띈다. 두 어깨 위로 흘러내린 머리칼은 상체를 따라 소매 자락 부분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매우 형식화되어 있다. 착의법은 통견으로 두 어깨와 소맷자락에는 도식적인 굵은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넓게 트인 가슴 앞에는 군의(裙衣)를 묶은 매듭이 보인다. 수인은 왼손은 가슴 높이로 들어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설법인을 짓고 있으며, 오른손은 배 앞에 손바닥을 대고 손등을 바깥으로 향하고 있다. 광배는 두광과 신광을 굵은 세 줄의 띠 모양으로 표현하였다. 두광 근처에는 범자(梵字)가 새겨져 있다. 좌법은 왼발을 위로 한 항마좌(降魔坐)이며, 대좌는 앙련(仰蓮)으로 된 연화좌이다.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은 마애 기법으로 조성하였다는 점, 관꽂이에 술이 달린 특이한 보관을 쓰고 있다는 점, 각진 어깨에 넓고 높은 무릎을 하고 있고 옷주름이 도식화되어 있다는 점, 왼손을 위로 들어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 점 등이 특징이다.

안양암 관음전 마애 관음보살좌상은 1909년에 조성되었는데 불상의 밑그림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주로 충청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 금호약효(錦浩若効)와 그 문하의 영성몽화(永性夢華)가 담당하였다. 아울러 윤동근(尹東根)이 석공으로, 김천보(金天輔)가 각수로 각각 참여하였다. 이 불상은 20세기 초 불교조각 연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불화승과 석공 및 각수가 분업하여 조성한 근대기의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서울특별시』(문화재청·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3)
『조선시대 기록문화재 자료집 Ⅰ』(문명대 외, 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안양암에 담긴 정토신앙의 세계』(한국불교미술박물관, 2004)
『신문으로 본 한국불교 근현대사』(선우도량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1999)
「20세기 전반 불화의 새로운 동향과 화승의 입지: 서울 안양암의 불화를 중심으로」(최엽, 『미술사학연구』266, 2010)
「서울 창신동 안양암 마애 관음보살좌상 연구」(최엽, 『불교미술』20, 2009)
문화재청 (http://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