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정사 목조 지장보살 좌상 ( )

조각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본원정사의 명부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지장보살)(本願精寺 木 菩薩坐像(地藏菩薩))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보살상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09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1 (수유동, 본원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본원정사의 명부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지장보살좌상.
내용 및 특징

지장보살은 지옥에 있는 모든 중생이 구제될 때까지 성불(成佛)을 뒤로 미룬 보살이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대원본존(大願本尊) 지장보살이라고 한다. 이 불상은 북한산 태고사에 모셔져 있던 상인데, 한국 전쟁 때 태고사가 전소(全燒)되면서 현재의 본원정사로 이운(移運)되었다고 한다. 태고사에 지장보살상이 소장되었던 사실은 1933년 1월 31일 자 『조선총독부관보』 제1817호에 실린 태고사 귀중품 목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본원정사 지장보살상의 도상 특징은 삭발한 비구형 민머리 형식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지장보살의 머리 형식은 두건형과 민머리형으로 구분되는데, 이 지장보살상은 후자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 두 손은 없어져서 새로 만들어 끼워넣었기 때문에, 조성 당시 지장보살 지물인 석장(錫杖)이나 보주(寶珠)를 가졌는지는 알 수 없다. 이 불상의 수인은 17세기 중반에 활약한 조각승 승일과 희장 등 여러 조각승의 불교조각에서 많이 나타나는 표현법과 일치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는 희장이 1666년에 조성한 진도 쌍계사 목 지장보살좌상에서 찾을 수 있다. 불상은 얼굴이 다소 넓적하고 큰 느낌을 준다. 신체가 그다지 큰 편은 아니지만 양감을 잘 표현하였다. 두 어깨를 모두 감싼 법의(法衣)는 17세기에서 18세기에 유행한 변형 통견과는 다른 계열임을 알 수 있다. 넓게 트인 가슴 앞에는 삼엽 연꽃잎 형태의 군의(裙衣) 상단 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두 다리 사이에 폭이 넓고 곡선으로 이루어진 옷주름을 중심으로 좌우에 두 줄씩 음각선이 무릎을 향해 대칭을 이루고 있는 형태는, 조각승 삼인이 1659년에 조성한 고흥 금탑사 목 지장보살좌상과 유사하다.

의의와 평가

본원정사의 지장보살상은 방형의 큼직한 얼굴, 안정적인 구도, 두 어깨를 감싼 통견의 착의법과 유연한 옷주름, 독특한 수인과 하체의 좌우 대칭적인 옷주름 등 17세기에 활약한 조각승들의 작품과 친연성이 있다. 따라서 이 불상은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각 수법 및 양식적인 특징 등을 통해 볼 때 조선 후기 불교조각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 서울특별시』(문화재청·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3)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