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목차
영화
작품
나운규(羅雲奎) 시나리오 · 감독의 무성영화.
목차
정의
나운규(羅雲奎) 시나리오 · 감독의 무성영화.
내용

나운규(羅雲奎) 시나리오·감독의 무성영화.

한국영화사상 가장 초창기에 제작된 명작으로 1926년 조선키네마프로덕션의 제2회작품으로 제작되었다. 나운규 감독의 데뷔작품이기도 하다.

당시의 우리 영화는 1919년에 김도산(金陶山)이 극단 신극좌(新劇座)에서 만든 연쇄극(連鎖劇) <의리적 구투 義理的仇鬪> 속에 약 1,000피트의 필름을 제작, 삽입함으로써 영화사의 기점을 이루었다.

그 뒤 필름에 의한 완전한 영화가 만들어지기는 1923년 윤백남(尹白南)이 민중극단(民衆劇團)을 이끌고 제작한 <월하(月下)의 맹세(盟誓)>가 최초로서, 당시의 작품들은 대부분 외국영화의 번안모방물이거나 개화기신파물·통속사극물 등 그야말로 유치한 활동사진에 지나지 않았다.

서구의 문물이 밀물처럼 들어오던 개화기 한반도가 일제의 무력에 의해 식민지가 된 지 10여 년, 영화 <아리랑>은 이러한 역사적·사회적 배경 아래에서 제작되었다.

그리고 1926년 10월 1일, 당시 박승필(朴承弼)이 경영하던 단성사(團成社)에서 개봉된 <아리랑>은 그야말로 이 땅의 민중들에게 일대 충격을 안겨준 혁명적인 영화가 되었다. 그 이유는 이 작품이 당시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항일민족정신을 그 주제로 하였으며, 작품 또한 영화사상 초유의 예술성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와 함께 제1권이 시작되면 ‘개와 고양이’라는 자막에 이어서 변사의 해설이 시작된다. “……평화를 노래하고 있던 백성들이 오랜 세월에 쌓이고 쌓인 슬픔의 시를 읊으려고 합니다. ……서울에서 철학공부를 하다가 3·1운동의 충격으로 미쳐버렸다는 김영진(金永鎭)이라는 청년은……”

영화 속에서 광인(狂人) 영진(羅雲奎 扮)은 낫을 휘두르며 오기호(朱仁圭 扮)를 쫓아간다. 기호는 이 마을의 악덕지주 천가(千哥)의 머슴이며 왜경의 앞잡이이기도 하다. 영진은 온 마을사람이 송충이처럼 미워하는 기호를 이처럼 증오하며 왜경과 마주쳐도 찌를 듯이 낫을 휘두른다.

한편 영진에게는 영희(申一仙 扮)라는 여동생이 있으며, 그는 광인 특유의 사랑으로 영희를 아낀다. 어느 날 서울에서 영진의 대학동창생 윤현구(南宮雲 扮)가 그의 친구를 찾아 이 마을로 온다.

그러나 영진은 현구를 알아보지 못하고, 영희가 오빠를 대신하여 그를 맞이한다. 영진의 불행을 걱정하는 두 남녀 사이에 어느덧 순수한 애정이 싹튼다.

마침 마을에서 풍년의 농악제가 열린 날 고약한 머슴 기호가 마을을 기웃거리다가 혼자서 집안일을 하고 있는 영희를 보고 그녀를 범하려 든다. 이 때 현구가 돌아와 기호와 격투를 벌이게 된다. 영진도 이 자리에 있었지만 정신이상자인 그의 눈에는 두 남자의 격투가 마치 재미있는 장난처럼 보여 히죽히죽 웃기만 한다.

그러던 영진이 환상을 본다. 사막에 쓰러진 한 쌍의 연인이 지나가는 대상(隊商)에게 물을 달라고 애원한다. 그러자 상인은 물 한 모금 대신 여자를 끌어안는다. 그 순간 영진이 낫을 번쩍 들어 후려친다.

그 순간 대상은 사라지고, 영진의 낫에 찔려 쓰러진 것은 기호였다. 이 때 영진은 기호가 흘린 피를 바라보다 충격을 받으며 맑은 정신을 되찾는다.

이 자리에 영진의 아버지, 교장선생, 천가, 그리고 일본순경 등과 마을사람들이 모여든다. 어느새 영진의 손에는 포승이 묶여진다. 영진은 그를 바라보고 오열하는 마을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러분, 울지 마십시오. 이 몸이 삼천리강산에 태어났기에 미쳤고 사람을 죽였습니다. 지금 이곳을 떠나는, 떠나려는 이 영진은 죽음의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갱생의 길을 가는 것이오니 여러분 눈물을 거두어주십시오…….”이러한 변사의 해설과 함께 영진은 일본순경에 끌려가고, 주제가 <아리랑>이 남아 흐른다.

위의 작품줄거리에서 보듯이 주인공 영진은 3·1운동 때 잡혀서 일제의 고문으로 정신이상이 된 민족청년이다. 그리고 그가 미워하고 죽이게 되는 기호는 일제에 아부하는 반민족적인 인물이다. 정신이상자가 아니면 올바로 살 수 없었던 일제시대, 그리고 정신이상자이기 때문에 살인행위가 가능하였던 작품의 방법론이 놀랍다.

영화의 촬영도 당시로서는 드물게 우리 농촌의 생생한 현장을 사실적인 기법으로 묘사하여 한국 리얼리즘영화의 남상(濫觴:시작)을 이루었다. 또한, 작품 속에서 기호를 살해하게 되는 대상의 환상장면의 설정과 처리는 뛰어난 기법으로 크게 찬사를 받았다.

그렇지만 역시 이 작품의 가장 큰 감동은 작품 전체의 주제를 항일민족정신으로 높이고, 그것을 전통민요인 <아리랑>과 연결, 승화시킨 점이었다. 이로써 이 영화의 제목이자 주제가였던 민요 <아리랑>은 암담한 시대를 사는 온 겨레의 애국가요, 겨레의 가슴마다 민족혼을 불어넣는 노래로 전하여지게 되었다.

한편, 영화 <아리랑>은 개봉이 되자 전국의 극장에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 영화의 영향으로 이 땅의 영화 제작이 활발하여지는 한편, 당시의 조선영화계가 번안모방물이나 개화기신파물 제작을 저버리고 민족영화 제작으로 면목을 일신하게 하여 민족영화 창조의 전통을 쌓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영화측면비사』(안종화, 춘추각, 1962)
『한국영화전사』(이영일, 삼애사, 1969)
『한국영화발달사』(유현목, 한진출판사, 1980)
「아리랑을 만들 때」(나운규, 『조선영화』 일(一), 1936)
집필자
이영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