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해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49.12㎢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압해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있는 섬이다. 2008년 4월에 개통한 압해대교를 통해 목포와 연결된 연륙도이다. 온난한 해양성 기후로 식생은 북가시나무·녹나무·후박나무·동백나무·사철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콩·고구마 외에 배와 포도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 조기·민어·숭어·세발낙지 등이 어획되고, 남서 연안에서는 굴·김 양식과 제염업이 활발하다. 배·포도·김·세발낙지는 압해도의 특산품이다. 동서리에 선돌, 대천리에 고인돌 등의 유적지가 있다. 신라시대에 군마장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6°18′, 북위 34°52′에 위치한다. 2008년 4월에 개통한 압해대교를 통해 목포와 연결된 연륙도이다. 목포에 있던 신안군청이 2011년 4월에 압해도의 신장리로 이전하였다. 면적은 49.12㎢이고, 해안선 길이는 81.9㎞이다. 2013년 12월에 개통한 김대중대교를 통해 무안군 운남면과 연결되고, 2010년 9월에는 암태도와 연결되는 천사대교(새천년대교)가 착공되어 2019년 4월 개통되었다.

백제시대에 아차산현에, 신라시대에는 압해군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나주목에 속하였다. 1896년에 지도군 압해면이 되었다가 1914년에 무안군으로 이속되었다. 1969년에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함에 따라 신안군 압해면이 되었다.

지명은 지세가 낙지 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압해라 불렀다고 한다. 또는 섬 전체가 바다〔海〕를 누르고〔押〕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도 전해진다.

자연환경

암석은 주로 산성 화산암류와 주1이다. 북쪽에 인매산(忍梅山, 138m)과 서쪽 끝에 섬내 최고봉인 송공산(宋孔山, 주2을 중심으로 산지가 형성되어 있고, 섬의 중앙과 동남쪽에는 평야가 발달해 있다.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100m 내외의 구릉지로 되어 있다.

해안선은 본래 만과 곶이 많은 리아스식 해안이었으나, 간척으로 단조로워지고 소규모 섬들은 육지와 연결되었다. 해안은 대부분 사질 해안이다. 온난한 해양성 기후로 식생은 북가시나무 · 녹나무 · 후박나무 · 동백나무 · 사철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2℃, 8월 평균 기온은 26℃, 연 강수량은 1,126㎜이다.

현황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6,318명(남 3,260명, 여 3,05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2,739세대였으나, 2021년 기준 인구는 5,065명(남 2766명, 여 2,29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주3. 면사무소를 비롯하여 중 · 고등학교가 있는 학교리가 섬의 중심지이다. 압해도는 가룡리, 대천리, 동서리, 복룡리, 분매리, 송공리, 신용리, 신장리, 장감리, 학교리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10.44㎢, 밭 15.08㎢, 임야 14.52㎢이다. 주민은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보리 · 콩 · 고구마 외에 배와 포도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 조기 · 민어 · 숭어 · 세발낙지 등이 어획되고, 남서 연안에서는 굴 · 김 양식과 제염업이 활발하다. 배 · 포도 · 김 · 세발낙지는 압해도의 특산품이다.

송공리에 있는 송공산성(宋孔山城)은 삼한시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이 밖에도 동서리에 선돌, 대천리에 고인돌 등의 유적지가 있다. 신라시대에 군마장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 당나라의 대승상인 정덕성(丁德盛)이 압해로 귀양살이를 와서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목포에서 연결되는 2번 국도가 섬을 동서로 가로지르고, 77번 국도는 섬을 남북으로 관통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압해초등학교, 압해동초등학교, 압해서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압해중학교와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가 있다.

공공시설로는 읍사무소, 우체국, 119지역대, 신안군민체육관, 신안군 농업기술센터가 대부분 학교리에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내고장 자랑』 (신안군, 1982)
『도서지』 (내무부, 1985)
『신안군지』 (신안군지편찬위원회, 1981)
『신안통계연보』 (신안군, 2010)
『신안통계연보』 (신안군, 2022)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신안군청(www.shinan.go.kr)
주석
주1

반드시 장석을 포함하고, 석영ㆍ운모ㆍ각섬석 따위로 이루어진 변성암. 수성암과 화성암의 두 종이 있는데, 운모가 조각 모양으로 섞이고 다른 광물도 줄무늬를 이룬 것이 화강암과 다르다. 우리말샘

주2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있는 산. 산의 정상에서 인근의 섬을 조망할 수 있으며, 등산로가 갖추어져 있다. 산의 남쪽에는 분재 공원이 있어 미술관, 야생화원, 미니 수목원, 연못, 유리온실, 산림욕장 따위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높이는 234미터. 우리말샘

주3

신안군 인구통계 압해읍 자료에서 압해도에 해당되는 법정동만을 별도로 취합하여 인구수를 계산하였다(신안통계연보, 202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