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동대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읍에 있는 경승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읍에 있는 경승지.
내용

높이 429m. 에서 서쪽으로 약 2㎞ 거리의 구룡강 기슭에 있으며, 예로부터 관서팔경의 하나로 꼽히는 유명한 명승지이다. 약산이라고 불리우게 된 것은 이곳에 여러 종류의 약초가 자라고 약수가 있다고 부르게 되었다.

동대라는 이름은 영변이 옛날 무주(撫州), 위주(渭州), 연주(延州)라는 세 고을로 나뉘어져 있을 때 무주에서 보면 동쪽에 있는 산이라는 뜻에서 불리게 되었다. 지금의 영변읍에서는 이 산이 서쪽에 있지만 옛 이름대로 약산동대라고 부른다. 남북으로 길게 놓인 동대는 그리 험준하지 않으며 제일봉과 바위, 기암절벽, 학벼루, 울창한 숲, 계절에 따라 피는 여러 가지의 이 어울려 아름답다.

이곳은 소월(素月)의 시인 ‘진달래꽃’으로 유명하며 봄이면 진달래로 온산이 붉게 물들이고 있다. 이곳의 절경은 제일봉 · 동대 · 학벼루 등이다. 그 중 제일봉(489m)은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이곳에 오르면 서쪽의 황해로 유유히 흐르는 구룡강(九龍江)과 대령강(大寧江)이 보이며, 동쪽으로는 멀리 묘향산(妙香山, 1,909m)과 용문산의 웅장한 모습이 아득히 보인다. 또한 아래에는 옛 성터로 둘러싸인 영변읍이 한 눈에 들어온다.

남서쪽으로는 안주 · 박천 일대의 넓은 들이 펼쳐져 있으며, 제일봉과 잇닿은 동대에는 거북바위로 불리는 바위를 비롯하여 유달리 흰 바위들이 드러나 있다. 그 가운데서도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것은 거북바위로 이 바위에는 전설이 담겨 있다. 바위 위에는 돌로 다듬어진 두 마리의 거북모양이 있는데 이곳에는 글귀가 많이 새겨져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학벼루는 약산동대 북쪽 끝 깊은 벼랑을 사이에 두고 솟은 바위 봉우리로 동대에서 제일 험준한 곳이다. 이곳에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영변읍을 둘러싸고 있는 성이 있는데 본성(本城) · 약산성(藥山城) · 신성(新城) · 북성(北城) 등 4개의 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단단한 성이기 때문에 철옹성(鐵甕城)이라고도 불린다. 성의 둘레는 14㎞이다.

제일봉 남쪽 아래 1345년(충목왕 1)에 세웠으며, 현재는 1654년(효종 5)과 1678년(숙종 4), 1688에 각각 개축된 서운사(捿雲寺)가 있고, 1684년에 창건하고 1722년(경종 2)에 개축한 천주사(天柱寺), 이 밖에도 육승정(六勝亭) 등의 유적지가 있다. 교통은 동대 주위로 구성∼구장, 구성∼개천으로 연결된 철도가 팔원에서 각각 갈라진다.

참고문헌

『영변지』(영변군민회,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