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노래

목차
구비문학
작품
갓양태를 결으면서 부르는 민요.
목차
정의
갓양태를 결으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이 노래는 갓양태가 이루어지던 영·호남지방에 띄엄띄엄 분포되었지만 조선조 때부터 갓양태 겯기를 주요 부업으로 일삼아오던 제주도 부녀자들에 의하여 주로 전승된다.

삼양(三陽)·화북(禾北)을 비롯한 제주시 일대와 신촌(新村)·와흘(臥屹) 등 제주시 조천읍 등지에서만 이루어졌던 갓양태 겯기는 모자·망건·탕건 겯기와 더불어 제주도 부녀자들에게 많은 수입을 얻게 하였다.

1960년대까지만 하여도 제주시 삼양에서 수 십 가호가 이에 종사하였는데 이제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그 기능보유자만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이 민요의 사설내용은 작업 실태를 노래하면서 그들의 의욕과 실정을 담고 있다.

“나동침아 돌아가라/서월사름 술잔돌듯/어서재게 돌아가라/이양태로 큰집사곡/늙은부모 공양ᄒᆞ곡/어린동ᄉᆡᆼ 부양ᄒᆞ곡/일가방상 고적ᄒᆞ곡/이웃ᄒᆞ춘 부조ᄒᆞ게.”

이 민요는 한 사람의 선소리에 따라 여럿이 후렴을 받는 선후창형식인데, 대체로 “이여이여 이여도양태”라는 후렴이 노래가 시작될 때와 각 편이 끝날 때마다 따른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한국민요집』Ⅱ·Ⅲ(임동권, 집문당, 1980)
『제주도민요연구』상(김영돈, 일조각, 1965)
집필자
김영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