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념왕생문 ()

불교
문헌
1729년, 평안도 삭녕 보현사에서 개판된 정토왕생을 기원하는 염불의 절차와 의식을 수록한 불교 의례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729년(영조 5)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판본
목판본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담양 용흥사 등
내용 요약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은 아미타불에 대한 예경 · 참회 · 염불을 통하여 정토왕생을 기원하는 의식문으로 일명 ‘미타참(彌陀懺)’이라고도 한다. 1729년(영조 5) 평안도 삭녕(영변) 보현사(普賢寺)에서 개판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는 이때 한 차례 간행되었다. 조선 말기 불교 수행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정의
1729년, 평안도 삭녕 보현사에서 개판된 정토왕생을 기원하는 염불의 절차와 의식을 수록한 불교 의례서.
편찬 및 간행 경위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은 다른 의식집에 비해 널리 간행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판본은 1729년(영조 5) 평안도 주1 보현사(普賢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뿐이다. 이 보현사본의 말미에 판대시주(板大施主) 절형첨지(折衡僉知) 안향립(安香立)과 대시주(大施主) 도신거사(道信居士) 최의성(崔義成)을 비롯해 많은 시주자들과 각수인 각공(刻工) 체은(體訔), 석인(釋仁) 등의 이름이 판각되어 있다.

내용

『예념왕생문』은 아미타불에 대한 주2 · 참회 · 염불을 통하여 주3을 기원하는 의식문으로 일명 주4’이라고도 한다. 이 책은 1책의 목판본이다. 권두에 아미타불 등의 불상이 실려 있다. 본문에서는 인증부(引證部) · 술의부(述意部) · 우열부(優劣部)에서 계 · 정 · 혜의 수행을 통하여 6도윤회하거나 불도를 성취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어 늑나(勒那) 삼장의 10종 예불관을 제시하고 염불할 때의 헌공절차(獻供節次)를 싣고 있다.

염불하는 절차는 먼저 주5주6과 10대 주7을 한다. 이어 삼보통청(三寶通請), 아미타불찬, 3종 정관(淨觀), 삼보삼학에 대한 6종 진언과 아미타불 10상찬, 회향게의 순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극락세계에 대한 16관법과 극락세계의 10종 장엄, 30종의 이익, 48대원, 중봉(中峯)의 염불게 졸송(卒頌), 회향송, 회향발원을 마지막으로 염불의식을 끝맺는다.

부록으로 죽은 사람을 위한 염불의식, 주8, 여래의 10대 발원문, 나옹(懶翁)의 발원문, 천태 주9의 발원문, 주10의 예불게 · 찬불게 · 공불게 · 수지문(修持文) · 왕생진언(往生眞言) · 제불보살예념문, 의상(義湘)『투사례(投師禮)』 · 향수해예참(香水海禮懺) · 참제업장십이존불(懺諸業障十二尊佛) · 승문일용묵념작법(僧門日用默念作法) · 식당작법(食堂作法) 등이 합편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예념왕생문』은 국한문 혼용으로 된 책이다. 천수다라니의 계청 전까지는 한문으로 적혀 있고, 계청에서 공불게까지는 국한문 혼용으로 되어 있으며, 그 뒤는 한글로 번역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 말기 불교 수행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서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동국대학교 출판부, 1976)

단행본

논문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영변

주2

부처나 보살 앞에 예배하는 일. 우리말샘

주3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우리말샘

주4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하고 모든 부처를 청하여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하면서 온갖 악업과 죄를 참회하고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법회. 우리말샘

주5

천수관음의 공덕을 찬탄하고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나타내는 다라니. 모두 82구(句)로 되어 있다. 이 다라니를 외면 시방(十方)의 부처나 보살이 와서 증명하여 온갖 죄업이 없어진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6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던 일. 우리말샘

주7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또는 그 소원. 우리말샘

주8

신에게 소원을 비는 무가(巫歌). 이에는 성조(成造) 축원, 고사(告祀) 축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지의’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석가모니여래의 오른쪽에 있는 보살. 형상은 크게 흰 코끼리를 탄 모양과 연화대에 앉은 모양 두 가지가 있다.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았으며, 왼쪽의 문수보살과 함께 모든 보살의 으뜸이 되어 언제나 여래의 중생 제도를 돕는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