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78㎝.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흔효리에 대한 기록을 보면, 『용궁읍지(龍宮邑志)』나 『동국여지승람』에서는 ‘흥천사(興天寺)’라는 절이 이곳에 소재하고 있었다고 한다. 『예천읍지(醴泉邑志)』에서는 ‘미륵불(彌勒佛)’이 있었다고 한다.
불상의 왼손은 현재 결실되어 어떤 형태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었는지 알 수 없다.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 의습(衣褶 : 옷주름)을 살포시 어루만지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단아한 느낌이다. 불두와 손이 불신에 비해 큰 편이다.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는 낮고 편평하게 묘사되어 있다.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은 하나하나씩 크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양식은 고려 초기 석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예이다.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마모가 심하여 구체적인 양식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어렴풋한 윤곽선을 통하여 볼 때 세모진 코의 모습이나 약간 크게 표현된 입의 형식에서 역시 고려 초기 불상의 특징이 간취된다.
원래의 모습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상당히 움츠리고 있는 어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상반신 전체가 움츠리고 있는 긴장된 듯한 자세이다. 또한 목이 상당히 아래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삼도(三道)의 표현은 명확하다.
착의 방법은 통견의(通肩衣 : 어깨에 걸쳐진 옷)로서 의습은 비교적 두껍게 조각되어 있다. 불상을 만든 장인이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려는 듯 왼쪽 가슴 부분의 의습을 한 번 꺾어 표현하였다.
의습은 복부로부터 시작하여 무릎 바로 아래까지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들 의습 선 아래 부분에는 군의(裙衣)의 끝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그 중간에 얕게나마 불족(佛足)이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인 비례감, 육계와 나발의 형식, 움츠린 자세 및 형식적인 의습 선의 표현 등에서 고려 초기의 불상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