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뭇가사리

목차
관련 정보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
식물
생물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해조.
목차
정의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해조.
생태

학명은 Gelidium amansii LAMOUROUX이다. 우뭇가사리는 암수의 배우체(配偶體)가 따로 있고 유성생식으로 주1를 만든다. 과포자는 발아하여 주2가 되고 이것이 발아하여 다시 암수의 배우체가 되는 세대교번을 되풀이한다.

다년생이며 연중을 통하여 살고 있으나, 여름의 번식기가 지나면 본체의 상부는 녹아 없어지고 하부만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새싹이 자라난다. 동해안 · 남해안과 황해의 바깥 도서에 분포하나 동해 남부 연안의 것이 품질도 좋고 가장 많이

저조선(低潮線)주3 부근에서 점심대(漸深帶) 20∼30m 깊이의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바깥바다에 면하고 바닥이 모래로 된, 해수의 소통이 잘 되는 곳에 산다.

아직 양식법이 개발되지 않아서 주4로 잡조(雜藻)를 제거하거나, 또는 큰 바위의 투석(投石) 또는 암반 폭파 등의 방법으로 번식 면적을 확대시키는 소극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이전에는 가을에 마을사람들이 공동으로 긴 장대 끝에 납작한 쇠붙이가 달린 연장으로 갯닦기를 실시하였는데 요즘은 인력 부족으로 하지 않게 되었다. 우뭇가사리를 민물에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바랜 것을 고아서 찌꺼기를 걸러내고 식히면 주5가 된다.

현황

이 우무는 예로부터 채쳐서 콩국에 띄워 청량음료로 사용하여 왔다. 우무 자체는 영양가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변과 함께 그대로 배설된다.

이와 같이 만든 우무를 얼려 말린 것이 한천(寒天)이다. 한천은 식품첨가용(제과 · 조림 · 유제품 · 육류저장용)으로 쓰이는 외에 공업용(필름 · 방수포 · 상질 인쇄지 · 기포제 · 섬유 및 명주의 끝마무리용 풀과 석호세공 · 각종 모형 성형용 및 수정유제 · 연마제도료 · 납도금 등)으로 많이 쓰인다.

농업용으로는 살충제 · 농약안정제 · 양조용(양조된 것을 맑게 거르는 데 사용)으로도 쓰이고, 각종 화장품용 · 의약용으로 널리 쓰일 뿐만 아니라, 학술연구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다양하게 쓰이는 한천을 제2차세계대전 전까지는 우리나라 · 일본에서 독점 생산하고 있었으나, 전쟁으로 수입의 길이 막히자 구미에서는 우뭇가사리 이외의 다른 홍조류에서 한천을 제조하는 화학한천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아직도 우리나라 한천이 외국에 많이 수출되고는 있으나 학술연구용의 순도가 높은 한천이나 주6 · 주7 등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뭇가사리는 고추장 속에 넣어 두었다가 맛이 든 뒤에 꺼내 먹는 우무장아찌, 또는 우무를 채쳐서 양념한 우무채로도 먹는다. 또한, 회충을 없애는 효과가 있어서 구충제로도 이용된다.

참고문헌

『해조양식(海藻養殖)』(강제원 외, 태화출판사, 1977)
『한국동식물도감 8-해조편-』(강제원, 문교부, 1968)
주석
주1

홍조류의 유성 생식으로 생긴 포자. 우리말샘

주2

사분 포자를 생성할 수 있는 세대인 동시에 몸체로서의 체제를 갖추고 있는 것. 우리말샘

주3

간조 때의 바다와 육지의 경계선. 우리말샘

주4

양식하는 해조류의 포자나 어패류 따위의 치어가 붙을 수 있도록 바윗면을 깨끗이 닦아 주는 일. 우리말샘

주5

우뭇가사리 따위를 끓여서 식혀 만든 끈끈한 물질. 음식이나 약 또는 공업용으로 쓴다. 우리말샘

주6

젤화 경향이 센 중성 다당류의 하나. 우무의 주성분이며, 생체 물질을 분리하는 여과재로 단백질이나 효소 따위를 특이하게 고정화하는 우수한 고분자 다당류 지지체로 쓴다. 우리말샘

주7

Pharmacia Biotech 회사의 겔여과용 담체의 일종. 아가로오스겔의 과립으로 2B, 4B, 6B의 3종류가 있어, 아가로오스 농도에 따라 분획범위가 다르다. 화학적으로 가교를 형성한 CL타입은 화학적, 물리적 강도가 높아 가압[증기]멸균기에도 견딘다. 분획범위는 전체적으로 104~40×106에 걸쳐 거대한 분자량의 생체고분자로부터 바이러스까지 분획할 수 있다. 세파로오스는 또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담체로서도 잘 이용하고 있다. 같은 제품으로 Bio Rad Laboratory의 이오겔 A가 있는데 이들은 아가로오스농도 1~10%의 6종류가 있으며 분획범위는 104~150×106이다. 바로가기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