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헌납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국왕에게 간쟁하는 일을 맡은 간관(諫官) 계열의 직제.
제도/관직
설치 시기
1401년(태종 1)
폐지 시기
1460년(세조 6)
내용 요약

우헌납은 조선시대에 국왕에게 간쟁하는 일을 맡은 간관 계열의 직제이다. 고려시대 간쟁을 담당하던 중서문하성의 낭사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직제 변경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1401년(태종 1)에 문하부가 혁파되고 사간원이 독립기구로 개편될 때 좌 · 우헌납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460년(세조 6) 좌헌납과 함께 혁파되었다가 1463년(세조 9)에 헌납 1인이 재설치되면서 우헌납의 직명이 사라지게 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사간원에 정5품의 헌납1좌로 정리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국왕에게 간쟁하는 일을 맡은 간관(諫官) 계열의 직제.
설치 목적

우헌납을 포함하여 간쟁 기관과 간쟁 직제를 설립한 목적은 국왕으로 하여금 왕도 정치를 추구하도록 주1하고 때로는 압박하기 위해서이다.

임무와 직능

국왕의 국정 운영 과정에서 인사권을 남용하거나 법제를 오용하는 등 실정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것이 주된 업무였다. 하지만 사헌부 관료들처럼 대소 주2들의 불법 적발과 탄핵하는 기능 역시 일정 부분 담당하고 있었다.

변천사항

우헌납은 고려시대 간쟁 기능을 담당하고 있던 중서문하성낭사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원 간섭기 이래 공민왕 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직제 변경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1372년(공민왕 21)에 우헌납으로 변경되어 조선에 이어졌다가, 1392년(태조 1)에 우보궐(정5품)로 개칭되었다. 1401년(태종 1)에 문하부가 혁파되면서 사간원이 간쟁을 담당하는 독립 기구로 개편될 때 명칭이 우헌납으로 다시 고쳐졌다.

1460년(세조 6)에 좌헌납과 함께 혁파되었다가 1463년(세조 9)에 헌납 1인이 재설치되면서 우헌납의 직명이 사라지게 되었다. 『 경국대전』에는 사간원에 정5품의 헌납 1좌로 정리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
『성종실록』
『세조실록』
『세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태조실록』
『태종실록』

단행본

최승희, 『조선초기 언론사연구』(지식산업사, 2004)
박용운, 『고려시대의 대간제도연구』(일지사, 1980)

논문

최인기, 「조선초기 문원 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남지대, 「조선 초기 중앙정치제도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남지대, 「조선 성종대의 대겸 언론」(『한국사론』 1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5)
주석
주1

알아듣도록 권하고 격려하여 힘쓰게 함.    우리말샘

주2

크고 작은 관직에 있는 모든 신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