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서경 조위총 세력의 잔당 토벌에 참여하였던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황려(黃驪)
주요 관직
직문하성(直門下省)
관련 사건
조위총의 남
내용 요약

이부는 고려 후기 무신으로, 1179년(명종 9) 대장군으로 서북면지병마사로 있을 때 서경 조위총 세력의 잔당 토벌에 참여하였다. 이때 이부의 술책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1181년(명종 11) 직문하성에 임명된 이후로는 행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정의
고려 후기 서경 조위총 세력의 잔당 토벌에 참여하였던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부(李富)의 본관은 황려(黃驪)이다. 이규보(李奎報)의 숙부이다.

주요 활동

이부는 1179년(명종 9) 대장군(大將軍)으로 서북면지병마사(西北面知兵馬事)로 있을 때, 서경 조위총(趙位寵)의 잔당이 다시 일어날 것을 염려하여 이들을 토벌하고자 하였다. 그때 마침 잔당들의 식량이 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공문을 보내 식량을 주겠노라고 속였다. 그리고 여러 성에 만일 적이 성으로 들어오면 성문을 닫고 모두 죽이라고 비밀히 지시하였다.

이후 공문의 지시에 따라 적을 잡아 죽인 성이 5곳이었고, 구주(龜州)에서 죽인 자만 300여 명이었다. 가주(嘉州) 사람들은 적 100여 인을 끌어들여 창고에 집어넣고 문을 봉쇄하였는데, 적은 탈출할 방법이 없자 스스로 창고를 태워 곡식 10만 곡(斛)과 함께 타 죽었다.

이에 반군의 우두머리 독우(獨牛)와 방전(方田) 등은 이를 알아차리고 다시 패거리를 불러 모아 난을 일으켰다. 병마사가 여러 성의 군사를 동원하여 이들을 공격하였으나, 관군은 거듭 패배하였다. 이에 다시 군사를 보강하여 여러 차례 전투를 치른 후에 진압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이부의 술책이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이부는 1181년(명종 11) 직문하성(直門下省)에 임명된 이후로는 행적이 나타나지 않는데, 사망하였거나 중앙 정계에서 밀려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연보(年譜) 무술년(戊戌年)

논문

김효섭, 「고려 무신집권기 지배층의 관료생활과 인간관계: 이규보를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 57, 한국중세사학회, 2019)
주석
주1

1174년(명종 4) 서경에서 무신정변에 반발하여 저항을 일으켰던 문신.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