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국왕 원종의 측근 세력으로 활약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행주(幸州)
주요 관직
추밀원부사
내용 요약

기온은 고려 후기 국왕 원종의 측근 세력으로 활약한 무신이다. 김준이 제거되자 그의 재산을 몰수하여 환관 김경과 최은에게 뇌물로 줘서 임연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 임연과 임유무가 몰락한 이후에는 복권되어 정동군의 조직과 충렬왕 즉위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국왕 원종의 측근 세력으로 활약한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기온(奇蘊)의 본관은 행주(幸州)이고, 국왕 원종의 배다른 누이의 사위이다.

주요 활동

기온은 국왕 원종의 측근 세력으로 국가 기밀에 관한 논의에 참여한 인물이다. 1268년(원종 9)에 무진정변(戊辰政變)이 일어나 김준(金俊)이 제거되자 그의 재산을 몰수하여 환관(宦官) 김경(金鏡)과 최은에게 뇌물로 바쳤다. 김경과 최은은 임연(林衍)과 함께 무신정권주1 김준을 제거하였는데, 임연은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이들을 죽였다.

또한, 임연은 국왕의 신뢰를 받던 대장군(大將軍) 기온을 어사대부(御史大夫) 장계열(張季烈)과 함께 섬으로 유배 보냈다. 임연이 이들을 제거하려고 한 것은 결국에는 국왕 원종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점은 기온이 유배에서 풀렸지만, 임연이 그를 평장사(平章事) 유경(柳璥주2 장계열과 함께 서울에 도착하기 전에 다시 다른 섬으로 유배 보낸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1270년(원종 11)에 임연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임유무(林惟茂)도 제거되자 기온도 복권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274년(원종 15)에 기온은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서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송송례(宋松禮), 응양군(鷹揚軍) 상장군(上將軍) 김광원(金光遠) 등과 함께 주3을 선발하는 데 참여하였다.

같은 해에 원종이 사망하자 기온이 주4을 받들고 원나라에 들어가 고려 국왕의 주5를 보고하였고, 세자 왕심(王愖)이 충렬왕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충렬왕은 즉위 이후 추밀원부사 기온을 원나라로 보내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맞아오게 하였다.

이후에는 기온의 행적이 사료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최근 충청남도 태안군의 연안 해역 마도(馬島) 주변에서 발견된 주6'의 주7 중에서 ‘기대랑택상(奇待郞宅上)’의 ‘기대랑’이 기온일 것이라는 연구 성과가 주목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목간(木簡): 태안 마도3-121」(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 금석문·문자자료)

단행본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국학자료원, 1999)
신호철 편, 『임연·임연정권 연구』(충북대학교 출판부, 1997)

논문

정현숙, 「태안해역 출수 고려 목간의 서체적 특징: 마도 1·2·3호선 목간을 중심으로」(『목간과 문자』 19, 한국목간학회, 2017)
강재광, 「무인정권 후기 대몽관계 변천과 고려왕조 정체성 변화의 성격: 국왕, 무인집정의 역학관계 변화를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 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윤용혁, 「태안선과 마도3호선의 침몰 연대」(『한국중세사연구』 44, 한국중세사학회, 2016)
주석
주1

정권을 잡고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추밀원에 속한 정삼품 벼슬. 헌종 1년(1095)에 중추원 부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3

고려 후기 일본을 정벌하기 조직한 군대.

주4

마음에 품은 생각을 적어서 임금에게 올리는 글.    우리말샘

주5

왕이나 왕족, 귀족 등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2011년에 발견된 고선박(古船舶)으로 선체 구조가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주7

글을 적은 나뭇조각. 종이가 없던 시대에 문서나 편지로 쓰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