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서경에서 고구려부흥운동을 내세웠던 최광수를 살해한 무신.
이칭
초명
정준유(鄭俊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33년(고종 20)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대장군
관련 사건
최광수의 난|홍복원·필현보의 난
내용 요약

정의는 고려 후기 서경에서 고구려부흥운동을 내세웠던 최광수를 살해한 무신이다. 최광수를 제거한 그는 종3품의 대장군까지 승진하였고, 1233년(고종 20) 필현보와 홍복원 등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선유사로 서경에 파견되었다. 필현보가 정의를 지휘관으로 삼기 위해 회유하였으나, 그는 끝내 굴복하지 않아 살해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서경에서 고구려부흥운동을 내세웠던 최광수를 살해한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정의(鄭顗)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초명은 정준유(鄭俊儒)이다. 아버지는 별장(別將) 정효문(鄭孝聞)이며, 부인 적성백씨(赤城白氏)는 백이신(白利臣)의 딸이다.

주요 활동

정의가 1217년( 고종 4)에 주1서경(西京) 분사(分司)에서 일하고 있을 때 주2이 침입해 왔다. 고려 정부는 서경병마사 상장군 최유공(崔愈恭)판관 예부낭중 김성(金成) 등에게 서경 병력을 거느리고 5군을 구원하게 하였다. 하지만 최유공이 수탈을 즐겨하여 군사들의 마음이 떠나 있었는데, 이 가운데 군졸 최광수(崔光秀)가 스스로 구고려흥복병마사 금오위섭상장군(句高麗興復兵馬使 金吾衛攝上將軍)이라고 칭하며 저항을 일으켰다.

정의는 본래 최광수와 같은 마을에 살아 서로 잘 알았는데, 교위 김억(金億)⋅백유(白濡)⋅ 필현보(畢玄甫) 등 10여 인을 거느리고 최광수의 처소에 가서 그를 살해하였다. 고종은 정의에게 단계를 뛰어넘어 섭중랑장(攝中郎將)으로 임명하여 내시(內侍)에 소속시키고 의관(衣冠)과 주3를 내려 주었다. 이후 정확한 시기는 확인되지 않지만, 정의는 승진을 거듭하여 장군(將軍)시랑(侍郞)을 거쳐 종3품 대장군(大將軍)에 임명되었다.

몽골의 2차 침략이 끝난 후 1233년(고종 20) 필현보와 홍복원(洪福源) 등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대신들이 필현보를 귀순시키기 위해 그와 친밀한 정의를 주4로 서경에 파견하였다. 필현보는 정의를 그들의 지휘관으로 삼기 위해 회유하였으나, 정의는 끝내 굴복하지 않아 살해되었다.

정의는 청주정씨 가문에서 처음으로 『고려사』 열전(列傳) 「충의(忠義)」에 등재된 만큼 이 가문의 위상을 높였던 인물이다. 그는 선대처럼 무반 직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고종 때 최광수의 난을 진압한 것을 계기로 대장군의 지위까지 올랐고, 필현보와 홍복원의 반란에서 순절하여 열전 「충의」에 기록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정씨가전(鄭氏家傳)」(『목은문고(牧隱文藁)』 권 20)

논문

박정민, 「여말선초 청주정씨 가문의 정치활동과 성격 변화」(『청람사학』 27, 청람사학회, 2018)
신안식, 「고려중기 삼국부흥운동의 ‘지역성’과 ‘저항성’」(『한국중세사연구』 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주석
주1

고려시대 사헌부에 딸린 서리(胥吏)를 일컫던 말이다.

주2

고려시대 몽골에 멸망당한 요(遼)의 잔당인 거란(契丹) 부족.

주3

안장을 얹은 말.    우리말샘

주4

나라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백성에게 훈유(訓諭)를 알리던 임시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