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약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최충헌 등이 이의민을 제거할 때 공로를 세워 최충헌 정권에서 출세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주요 관직
상장군(上將軍)
내용 요약

김약진은 고려 후기 최충헌 등이 이의민을 제거할 때 공로를 세워 최충헌 정권에서 출세한 무신이다. 최충헌의 족인(族人)으로 1196년(명종 26) 무신정권의 집정자 이의민과 그 일족을 제거하는 데 참여하였다. 또한, 그 이듬해 최충헌이 명종을 폐위하고, 그의 아우 최충수를 제거할 때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1211년(희종 7)에는 국왕 희종이 최충헌을 암살하려던 사건에서, 이를 퇴치하는 데 크게 활약하였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최충헌 등이 이의민을 제거할 때 공로를 세워 최충헌 정권에서 출세한 무신.
주요 활동

김약진은 최충헌(崔忠獻)주1이었다. 그는 1196년(명종 26) 최충헌이 아우 최충수(崔忠粹)와 함께 무신정권의 집정자 이의민(李義旼)과 그 일족을 제거하는 데 참여하였다. 또한 명종 27년 9월에 명종을 폐위하기 위하여 무력을 행사하였을 때 최충헌 형제 및 박진재(朴晉材) 등과 함께 중군(中軍)에 편성되어 적극적으로 활약하였다.

특히, 그는 1197년(신종 즉위년)에 최충헌이 아우 최충수를 제거할 때도 박진재와 더불어 선봉에 섰던 인물이었다. 이런 공로로 그는 이후 흥위위대장군 지상부사 태자우찬선대부(興威衛大將軍知上部事大子右賛善大夫, 종3품), 상장군(上將軍, 정3품)으로 승진한 것으로 보인다.

1211년(희종 7) 12월에는 내시(內侍) 낭중(郎中) 왕준명(王濬明) 등이 내시와 주2를 동원하여 수창궁(壽昌宮)에 머물러 있던 최충헌을 제거하려고 하자, 상장군 김약진은 지주(知奏) 정숙첨(鄭叔瞻)과 함께 내전으로 들어가 최충헌을 부축하여 탈출하였다. 최충헌이 무사하다는 소식을 들은 친위부대 도방(都房)이 다투어 진입하여 이들을 구출하였고, 승도들은 패하여 달아났다. 이에 김약진은 최충헌에게 궁궐로 들어가 모두 죽이고 심지어 임금도 없애 버리겠다고 건의하였지만, 최충헌의 만류로 이에 그쳤다.

이런 최충헌 암살 미수 사건으로 인해 희종이 강제 폐위되고 한남공(漢南公) 왕정(王貞)이 강종(康宗)으로 등극하였다. 이후에는 김약진의 행적이 사료에 등장하지 않지만, 그는 상장군이라는 공적 지위뿐만 아니라, 최충헌의 핵심 군사 집단인 도방 안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선경원종(善慶院鐘)」

단행본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국학자료원,1999)
허흥식, 『한국금석전문』 중세 하(아세아문화사, 1984)

논문

박재우, 「고려 최씨정권의 권력행사와 왕권의 위상」(『한국중세사연구』 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이현숙, 「금석문으로 본 고려후기 어대제의 변화」(『역사와 현실』 91, 한국역사연구회, 2014)
이정신, 「고려 무신집권기의 국왕, 희종연구: 목우를 거부한 군주」(『한국인물사연구』 2, 한국인물사연구회, 2004)
주석
주1

성과 본이 같은 사람들 가운데 유복친 안에 들지 않는 겨레붙이.    우리말샘

주2

수행하는 승려의 무리.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