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유무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교정별감을 역임한 무신정권 시대 최후의 집권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70년(원종 11)
본관
상산(常山)
주요 관직
교정별감
관련 사건
고려무신정권 붕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임유무는 고려 후기에 교정별감을 역임한 무신정권 시대 최후의 집권자이다. 임연의 아들로 정권을 승계하였으나 정치적 경륜이 미흡한 상태에서 권력 기반의 안정화에 실패하였다. 몽골의 후원을 받은 원종의 왕정복고 논리에 의하여 송송례 등에 의하여 제거됨으로써 100년 무신정권이 종식되어 왕정복고와 개경 환도가 이루어졌다.

정의
고려 후기, 교정별감을 역임한 무신정권 시대 최후의 집권자.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상산(常山: 현, 충청북도 진천군).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시대 최후의 집권자로서 임연(林衍)의 아들이다.

주요 활동

1269년(원종 10) 아버지 임연이 김준(金俊)을 죽이고 정권을 잡는 정변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봉해졌다.

이듬해 1270년(원종 11) 2월 원종(元宗)이 몽골에 들어가 있는 동안 무신집권자 임연이 갑자기 죽자 교정별감(敎定別監)의 직을 받고 임연의 권력을 승계하였다. 임유무는 도방(都房) 6번을 소집하여 호위를 받고, 서방(書房) 3번으로 하여금 형 임유간(林惟幹)의 집을 경비하도록 하였다.

몽골에서 돌아온 원종은 새로운 무신정권을 인정하지 않고 상장군(上將軍) 정자여(鄭子璵)를 보내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라는 명을 내렸다. 임유무는 이를 거부하고 여러 도(道)에 수로방호사(水路防護使) 및 산성별감(山城別監)을 파견하는 등 반몽정책(反蒙政策)을 지속하면서 원종에 맞섰다. 또 장군 김문비(金文庇)에게 야별초(夜別抄)를 거느리고 교동(喬桐)에 주둔하게 해 몽골군에 대비하였다.

앞서 임연이 보낸 야별초는 경상도에 이르러 백성을 독촉해 여러 섬에 들어가 지키게 하자, 이에 반발한 안찰사(按察使) 최간(崔澗)이 동경부유수(東京副留守) 주열(朱悅), 판관 엄수안(嚴守安)과 함께 모의해 야별초를 붙잡아 금주(金州: 현, 경상남도 김해시) 옥에 가두었다.

어리고 정치 경험이 없는 임유무는 정사(政事)를 장인인 사공(司空) 이응렬(李應烈)과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치사(致仕)한 송군비(宋君斐) 등에게 물어 처리하였다. 이 때문에 자형인 어사중승(御史中丞) 홍문계(洪文系)와 직문하성사(直門下省事) 송송례(宋松禮)는 겉으로는 따르는 척하였으나 실제로는 이를 분하게 생각하였다.

이것을 안 원종이 이분성(李汾成)을 보내 이들을 은밀히 설득하였다. 이에 송송례와 홍문계는 삼별초(三別抄)를 모아 사직을 호위하는 대의를 설명한 뒤 이들을 거느리고 임유무를 습격해 자형인 대장군(大將軍)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사로잡아 저자에서 목을 베었다. 그리고 이응렬·송군비, 족숙(族叔) 송방예(宋邦乂), 이성로(李成老), 외사촌 동생 이황수(李黃綏) 등은 유배에 처하였다.

뒤이어 무신정권시대의 권력 기구였던 서방 3번과 성조색(成造色)을 폐지하였다. 이에 조야가 크게 기뻐하였다고 한다. 어머니 이씨와 형 임유간, 아우 임유거(林惟柜)·임유제(林惟提) 등은 모두 붙잡혀 몽골로 압송되었다. 1270년(원종 11) 5월 15일 임유무 처단에 이어, 같은 해 5월 23일 개경 환도(開京還都)가 선포되고, 같은 달 29일 삼별초가 혁파됨으로써 100년 무신정권이 여기에서 종식된다. 그러나 몽골에 대한 복속 및 개경으로의 환도에 반대하는 삼별초의 남은 무리들이 난을 일으켜 진도(珍島)로 거점을 옮겨 저항을 지속함으로써 상황은 또 다른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신호철 편, 『임연·임연정권 연구』 (충북대학교 출판부, 199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홍승기 편, 『고려 무인정권 연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논문

강재광, 「무인정권 후기 대몽관계 변천과 고려왕조 정체성 변화의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성봉현, 「임연정권에 관한 연구」 (『역사와 담론』 16, 호서사학회, 1988)
집필자
윤용혁(공주대학교 명예교수, 고려시대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