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16세기 도화서(圖畵書) 화원(畵員) 이상좌(李上佐)가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나한화 화첩으로 현재는 5점만이 전하고 있다. 종이에 수묵의 빠르고 호방한 필치로 그린 선묘(線描) 나한 초본(草本)이다. 화첩의 크기는 세로 50.6㎝, 가로 31.1㎝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으로, 197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의 명신인 허목(許穆)의 『미수기언(眉叟記言)』 중 ‘이상좌불화묵초발(李上佐佛畵墨草跋)’이라고 제(題)한 글에, “이상좌의 불화묵초가 6본 있었는데, 낭선군 이우(李俁)가 그림을 사랑하여 그 화본을 구하였다. … 명종, 중종 이전에 안견(安堅)은 산수로서 이름이 났고 이상좌는 인물을 잘 그려 신묘하다고 칭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이 불화첩은 바로 그 6본 불화묵초 중 한 본이라고 생각된다.
채색은 가하지 않고 묵선(墨線)만으로 나한(羅漢)을 그렸다. 처음에는 담묵(淡墨)으로 밑바탕을 그리고, 다시 그 위에다 농묵(濃墨)으로 그렸다. 현재는 5점만 남아 있으나, 각 나한의 머리 위에 묵서한 번호로 미루어보아 16나한상을 그렸던 것 같다.
제3나한인 가나가바라타자(迦諾迦跋釐墮闍, Kanaka-bharadvāja)는 왼쪽으로 몸을 틀고 유희좌(遊戱坐)에 가까운 모습으로 앉아 있다. 두 손으로는 불자(拂子)를 잡고 있다.
제4나한 수빈다존자(蘇頻陀尊者, Subinda)는 노승으로 제3나한과 비슷한 자세를 취하고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발(鉢)을 받쳐 들었다. 부리부리한 눈과 큰 코가 매우 특징적이다.
제5나한 나쿠라존자(諾距羅尊者, Nakula)도 역시 노승의 모습이다. 비스듬히 앉아 오른손으로는 맹수의 머리를 쓰다듬고, 왼손으로는 똑바로 석장(錫杖: 중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을 잡고 있다.
제12나한 나가세나존자(那伽犀那尊者, Nāgasena)는 두건을 쓰고 눈을 지그시 감고 선정(禪定)에 든 노승이다. 두 손은 무릎 위에 가지런히 모아 선정인(禪定印: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모은 손 모양)을 결(結)하고 상현좌(裳懸座: 불상의 옷주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대좌) 위에 결가부좌하였다.
제15나한 아지타(阿氏多, Ajita)는 젊은 승려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오른손에는 부채와 같은 것을 들었으며 왼손에는 발을 들고 있다.
붓놀림이 활달하며 유려한 필치로 각 인물의 특징을 잘 묘사하고 있다. 얼굴은 세필(細筆)로써 섬세하게 표현하고 나한들의 가사(袈裟)는 가는 선과 굵은 선을 적당하게 사용하여 강조할 곳에 악센트를 주었다.
뛰어난 묘사력과 유려한 필치로 나한들을 묘사한 이 불화묵초본은 비록 완성된 그림이 아닌 밑그림이기는 하지만, 간단하고 단순한 필선으로 그려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의 「오백나한도」와는 달리 활달한 기운이 넘친다. 조선 초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로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