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선생 묘 일원 ( )

고려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문신 · 학자 이색의 무덤.
이칭
약칭
이색 선생 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고려
관련 단체
한산이씨종중
관련 인물
이색
소재지
충남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35(영모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색 선생 묘 일원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문신·학자 이색의 무덤이다. 여주에서 사망한 뒤 셋째 아들이 이곳으로 모셔와 장사지냈다. 봉분과 묘역 구조와 석물 등이 후대에 정비되어 본래의 모습은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고려후기 대학자 이색의 생애를 살펴 볼 수 있는 유적이다.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문신 · 학자 이색의 무덤.
건립경위

이색(李穡)은 본관이 한산(韓山),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이색은 1396년(태조 5)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 여주로 피서(避暑) 가는 중에 병사(病死)하였다는 기록도 있으며, 독살(毒殺)설이 제기되는 등 이설(異說)이 있다. 목은의 셋째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한산으로 영구(靈柩)를 모셔와 건지산(乾至山) 아래, 현재 묘소에 장사 지냈다. 이색의 무덤 자리는 풍수지리(風水地理)에 의하면 기린(麒麟)이 내려와 풀을 뜯어 먹고 있는 ‘기린하전(麒麟下田)’ 형국의 명당이라고 하며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점지한 곳이라 전해진다.

형태와 특징

이색의 무덤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기린산(145.5m) 중턱 남사면에 자리한다. 주1은 남향이다. 봉분(封墳)은 원형(圓形)이며 뒤편에 꼬리[龍尾]가 이어져 자연 둔덕과 연결된 모습이다. 봉분 전면에는 2단의 계체석(階砌石)이 설치되어 있다. 봉분 전면 1단 계체석 아래로 상석(床石)이 배치되어 있고 좌우에 망주석(望柱石)이 세워져 있다. 2단 계체석 아래는 경사가 급하게 이어지는데 좌우에 문인석(文人石)과 석마석(石馬石)이 각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봉분 전면 우측에는 ‘목은선생이색지묘(牧隱先生李穡之墓)’라 새겨진 묘비(墓碑)가 세워져 있다. 이색의 묘 바로 아래에는 3남 이종선(李種善)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묘역(墓域) 남동쪽 아래에는 이곡(李穀), 이색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위치하며 서원 옆에 이색의 초상화를 모신 영당(影堂)이 있다. 영당 앞에는 1666년(현종 7) 건립한 이색의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져 있다. 문헌서원 동쪽 언덕에는 이색의 조부 이자성(李自成)과 부인 안동권씨(安東權氏)의 묘가 자리한다.

현황

이색의 묘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 172번길 35(영모리)에 있다. 1993년 11월 12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역(지정) 면적은 1,150㎡이며 한산이씨(韓山李氏) 종중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1988년 후손들이 신도비를 새로 조성하였으며 현재 문헌서원 광장에 세워져 있다.

금석문

이색의 신도비는 1433년(세종 15)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잃어버리고, 1666년(현종 7) 후손들이 다시 세웠다. 처음 세운 신도비 비문은 이종선의 부탁으로 하륜(河崙)이 지었고 공부(孔俯)가 썼다. 새로 건립한 신도비는 앞면에 하륜이 지은 글을, 뒷면의 음기(陰記)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것을 12대손 이수경(李壽慶)이 쓰고 김수항(金壽恒)주2을 하였다. 신도비는 1984년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이색의 묘는 봉분과 묘역 구조, 석물(石物) 등이 후대에 정비되어 본래의 모습은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고려 후기 대학자 이색의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서천군지편찬위원회, 『서천군지』 (2009)
충남발전연구원·충청남도, 『문화유적분포지도: 서천군』 (2000)

논문

유영옥, 「송시열의 목은 비음기에 대한 문인 이선의 비판」 (『역사와 실학』 78, 역사실학회, 2022)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묏자리나 집터 따위를 등진 상태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 우리말샘

주2

전자체(篆字體)로 쓴 현판이나 비갈(碑碣)의 제액(題額).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