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수 선생 묘 ( )

고려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고려 후기, 문신 김자수의 무덤.
이칭
약칭
김자수 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고려, 조선
관련 단체
경주김씨상촌공파종중
관련 인물
김자수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산120-1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자수선생묘(金自粹先生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87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기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산120-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자수 선생 묘는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 김자수의 무덤이다.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였다가 태종이 형조판서 직을 내리자 한양으로 향하다가 광주 추령에서 무덤에 비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묘역은 전반적으로 후대에 정비되어 조성 당시의 모습은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고려말 문신 김자수의 생애와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정의
고려 후기, 문신 김자수의 무덤.
건립경위

김자수(金自粹, 1351~1413)는 안동(安東) 출신의 고려 말 문신으로 호는 상촌(桑村)이다.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374년(공민왕 23)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한 후 정언(正言),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등을 거쳐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올랐다. 조선이 건국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였다. 태조(太祖)가 대사헌(大司憲) 직을 내렸으나 응하지 않았고, 태종(太宗)이 형조판서 직을 내리자 한양으로 향하다가 무덤에 비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광주(廣州) 추령(秋嶺, 현 분당)에서 자결하였다.

형태와 특징

김자수 선생 묘는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 불곡산(335m) 동남쪽 지맥의 북서 사면에 자리한다. 묘역(墓域)은 골짜기 사이로 남동-북서방향으로 뻗어 내린 작은 능선 위에 조성되어 있다. 좌향은 북서향이다. 원형(圓形)의 봉분(封墳) 앞에는 1단의 계체석(階砌石)이 설치되어 있다. 계체석 아래로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 4각 장명등(長明燈)이 세워져 있고 좌우에 석인상(石人像) 2쌍과 석양(石羊), 망주석(望柱石)이 각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상석 좌우의 문인석(文人石)은 높이 80㎝, 폭 40㎝ 크기로 조선 초기의 것으로 여겨진다. 묘역 앞쪽의 문인석은 높이 183㎝로 금관조복(金冠朝服)을 착용한 모습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석양, 장명등, 상석 등은 근래에 세운 것이다.

김자수 선생 묘 뒤편에는 아들 김근(金根)과 며느리 우봉이씨(牛峯李氏)의 묘가 차례로 자리한다. 묘역 아래에는 땅속에 묻혀 있다가 발굴된 신도비(神道碑)가 눕혀져 있고, 그 옆에 1926년에 제작한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신도비 정면 좌측에는 순절비각(殉節碑閣)과 상촌시비(桑村詩碑)가 건립되어 있다.

현황

김자수 선생 묘는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 산120-1에 위치한다.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역(지정) 면적은 339㎡이며 경주김씨(慶州金氏) 상촌공파(桑村公派) 종중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금석문

김자수의 유언에 따라 무덤에 묘비를 세우지 않았고 조선 후기에 후손들이 신도비를 마련하였다가 땅에 묻었다고 한다. 1926년 옛 신도비를 발굴하였으나, 비문의 마모가 심하여 신도비를 새로 건립하였다. 새로 세운 신도비의 내용에 의하면 옛 신도비는 1654년(효종 5) 채유후(蔡裕後)가 비문을 지었으며 8대손 김홍욱(金弘郁)이 글씨로 썼고 여이징(呂爾徵)주1을 올렸다.

의의 및 평가

묘역은 전반적으로 후대에 정비되어 조성 당시의 모습은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고려 말 문신 김자수의 충절과 생애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광주군·기전문화재연구원,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2000)
광주시사편찬위원회, 『광주시사』 (2010)
용인시사편찬위원회 편, 『용인의 분묘문화』 (용인시, 2001)

논문

신천식, 「상촌 김자수의 생애와 사상」 (『인문과학연구논총』 20, 성남문화원, 1999)
이종호, 「상촌 김자수의 생애와 사상」 (『안동문화』 14, 안동대학부설 안동문화연구소, 1993)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기타 자료

경기도, 『2015 경기도 지정문화재 조사보고서』(2015)
주석
주1

전자체(篆字體)로 쓴 현판이나 비갈(碑碣)의 제액(題額).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