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춘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인물
남감리회의 북간도지역 선교사로 활동한 기독교 목사. 만주 선교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1년 2월 4일
사망 연도
1956년 7월 23일
출생지
경기도 개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화춘은 남감리회의 북간도지역 선교사로 활동한 기독교 목사이다. 남감리회 전도인으로 1907년 만주 선교사로 임명되어 용정을 중심으로 교회들을 설립하였다. 1908년 만주 선교를 캐나다장로회 선교부에 이양하고 귀국해서 개성과 금천, 서울 등지에서 목회하다가 1924년 재차 북간도지역 선교사로 파송되어 사역하였다.

정의
남감리회의 북간도지역 선교사로 활동한 기독교 목사. 만주 선교사.
인적 사항

1871년 2월 4일 경기도 개성에서 이암석의 아들로 출생했다. 부친을 일찍 여의고 18세 때부터 장사에 나서 개성과 해주에서 주2을 운영하였다. 1895년 11월 해주 보부상 김철산과 함께 중국 위안스카이[袁世凱][^3]에게 보내는 주8의 밀서를 갖고 의주까지 갔다가 실패하고 돌아왔다. 이후 개성에 정착하여 잡화점을 경영하던 중 친구가 준 전도 책자 『인가귀도』를 읽고 주4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01년 개성 북부교회에서 무스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았다.

1898년 결혼한 박로득과의 사이에 3남 1녀를 두었다.

주요 활동

권서(勸書)주5가 되어 개성과 연안, 배천, 금천 지역에서 전도하였고 1904년 개성에서 사립 주1를 설립하였다. 1904년 9월 서울 청녕교회(광희문교회의 전신)와 강원도 이천읍교회, 개성 남부교회 권사로 사역하다가 1908년 9월 남감리회 주9에서 주7 개척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권서 이응현, 한주익과 함께 주6으로 가서 중국인 교인 싼진[單金]과 그 지역 민족운동가 박무림의 도움을 받아 용정 시내에 교회를 개척하고 주변 한인촌을 돌며 전도한 결과 일 년 만에 9개소에 5백여 명의 교인을 얻었다.

그 무렵 원산에 본부를 둔 캐나다장로회 선교부에서도 북간도 지역 선교를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어 ‘선교 사역 중첩과 경쟁’을 피하자는 남감리회 선교부 결정에 따라 교회와 교인을 장로교회에 넘기고 일 년 만에 철수하였다.

귀국 후 철원교회를 담임하였고 1911년 12월 서울 협성신학교(현 감리교신학대학교) 제1회 졸업생이 되었으며 1912년 9월 남감리회 연회에서 집사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후 1912년 개성 남부교회, 1915년 금천교회, 1918년 경성지방 순행 목사로 활약하였다. 1924년 남감리회 연회에서 북간도 선교를 재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다시 선교사로 파송되어 용정을 중심으로 두도구, 이도구, 옹성나자, 경신향, 국자가, 백초구 지역을 순회하며 전도하였다.

1932년 건강 악화로 귀국하여 1933년 4월 연회에서 자원 은퇴를 한 후 금강산과 강릉에서 요양 생활을 하였다. 해방 후 1956년 7월 23일 서울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양주삼 편, 『조선남감리교회 30주년기념보』 (남감리교회전도국, 1929)
이덕주, 「보부상출신 개척전도인」 (『한국그리스도인들의 개종이야기』, 전망사, 1990)
이태산, 『이화춘 목사의 생애』 (이태산, 1958)
주석
주1

배의학교는 후에 한영서원을 거쳐 송도고등보통학교로 발전하였다.

주2

베나 무명 따위의 옷감을 파는 가게. 우리말샘

주3

중국의 정치가(1859~1916). 자는 웨이팅(慰亭). 호는 룽안(容庵). 조선의 임오군란ㆍ갑신정변, 중국의 무술정변에 관여하였으며, 의화단 사건 후 총독, 북양(北洋) 대신이 되었다. 신해혁명 때는 전권을 장악하여 선통제를 퇴위시키고, 1913년에 대총통에 취임하였으며, 1916년에 제위에 오르겠다고 선언하였으나 반대에 부딪쳐 실각하였다. 우리말샘

주4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교훈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천지 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을 섬기고, 그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다.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나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었고, 다시 페르시아ㆍ인도ㆍ중국 등지에 전해졌다. 11세기에 그리스 정교회가 갈려 나갔고,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는 구교인 가톨릭교와 신교로 분리되어 현재 세 교회로 나뉘어 있다. 우리말샘

주5

각처로 돌아다니면서 전도하고 성경책을 파는 사람. 우리말샘

주6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도시. 상업 중심지이며 강하천이 많아 주변 농경지에서 농업이 활발하다. 우리말샘

주7

두만강과 마주한 간도 지방의 동부.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경지는 적고 임업이 활발하며 광물 자원이 많다. 우리말샘

주8

4조선 고종 때의 정치가(1820~1898). 이름은 이하응(李昰應). 호는 석파(石坡). 고종의 아버지로, 아들이 12세에 왕위에 오르자 섭정하여, 서원을 철폐하고 외척인 안동 김씨의 세력을 눌러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는 따위의 내정 개혁을 단행하였다. 한편으로는 경복궁의 중건, 천주교에 대한 탄압, 통상 수교의 거부 정책을 고수하여 사회ㆍ경제적인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9

일 년에 한 번 여는 집회.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