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군 ()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황해북도(黃海北道) 남쪽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인산군은 황해북도 남쪽에 위치한 군이다. 1952년 황해북도 평산군 일부 지역과 서흥군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한 군으로, 군 소재지인 인산읍과 19리를 관할하고 있다. 군의 북쪽으로 봉산군·서흥군, 남쪽으로 신원군, 동쪽으로 평산군, 서쪽으로 은파군과 접해 있다. 지형은 멸악산맥에서 북서쪽과 남동쪽으로 점차 낮아지면서 구릉과 평야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인산군 전체면적의 69%가 산림이며, 침엽수림이 57.4%, 활엽수림이 42.7%를 차지한다. 인산군은 북한에서 약초 생산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특히 상하리는 약초재배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다.

정의
북한의 황해북도(黃海北道) 남쪽에 위치한 군.
개설

도의 남쪽에 위치한 인산군(麟山郡)은 북쪽으로 봉산군 · 서흥군, 남쪽으로 황해남도 신원군, 동쪽으로 평산군, 서쪽으로 은파군과 접해 있다. 동경 125°54´∼126°16´, 북위 38°09´∼38°20´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503.463㎢, 인구 7만 3,626명(2008년)이다.

명칭 유래

1952년 황해북도 평산군 일부 지역과 서흥군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한 군으로, 지명은 이 지역의 중심지에 속하는 인산면(麟山面)에서 유래하였다.

자연환경

멸악산(滅惡山, 고도: 818m)과 주지봉(住持峯, 고도: 713m), 각호산(却胡山, 고도: 612m)을 주봉으로 하는 멸악산맥이 군의 중심으로 뻗어 있다. 북서쪽에는 정두산이(고도), 중부에는 동막산이(고도), 남쪽에는 부아산과(고도), 중골산(고도), 운달산(고도)이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멸악산맥에서 북서쪽과 남동쪽으로 점차 낮아지면서 구릉과 평야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평산도호부편에 따르면 멸악산은 부의 서쪽 60리에 있는 진산(鎭山)이며, 멸악산에는 남방사(南方寺) · 관남사(觀南寺) · 음을사(陰乙寺)가 있다.

5㎞ 이상의 하천 12개가 흐르는 강하천 망이 발달한 지역이다. 인산군의 주요 하천은 멸악산맥 동쪽 경사면의 국수봉에서 예성강의 제1지류인 누천(漏川)이 발원해 인산군으로 흐르고 있다. 재령강(載寧江)의 제1지류인 곡천(曲川)이 주지봉의 북서쪽 경사면에서 흐르기 시작하여 인산군의 서쪽경계지역을 따라 은파호(銀波湖)로 흘러들며, 재령강의 지류인 은파천은 멸악산에서 시작하여 인산을 거쳐 군의 중심을 흐르고 있다. 저수지는 상월저수지(上月貯水池), 안창저수지(安昌貯水池), 지택저수지(池澤貯水池), 대동저수지(垈洞貯水池) 등이 있다.

군에는 화강암과 화강섬록암이 발달해 있으며, 철 · 망간 · 금 · 납 · 아연을 비롯한 금속자원과 석회석을 비롯한 비금속자원, 그리고 초무연탄과 이탄 등의 연료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하천연안에는 충적토가 발달되어 있고, 그 외 지역에는 갈색산림토양, 적갈색토양,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연평균기온이 9.4℃, 1월 평균기온이 -7.3℃, 8월 평균기온은 24.1℃이다. 그리고 연평균강수량은 1,102.9mm이다.

인산군 전체면적의 69%를 차지하는 산림은 해발 200m 이하에 55%가 분포되어 있다. 침엽수림이 57.4%, 활엽수림이 42.7%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참나무, 소나무, 잣나무, 밤나무, 박달나무, 오리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다. 그리고 멸악산 일대는 식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어 5,000여 정보의 잣나무숲, 수백여 정보의 호두나무숲, 300여 정보의 가래나무숲, 160여 정보의 산초나무숲이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에는 돌배, 머루, 고사리, 산삼, 천남성 등의 경제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상하리, 다전리 일대에는 노루와 꿩이 서식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인산군은 본래 조선시대 황해도 평산부 지역으로, 1952년 황해도 평산군 일부 지역과 서흥군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인산읍과 23리를 관할하는 군으로 신설하였다. 1953년 인산읍을 기린리(麒麟里)로 강등하고, 화창리와 문구리를 병합하여 인산읍과 화명리(花明里)로 개편하였다. 1954년 황해북도 린산군이 되면서 수현리 일부를 신원군 수원리에 편입하고, 백천리 일부와 대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검현리로, 백천리 일부와 황해남도 봉천군 은동리 일부, 간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도천리(道川里)로 개편하였다. 그 이후 1965년을 비롯하여 4번에 걸쳐 행정구역을 개편한 인산군은 2002년 현재 군 소재지인 인산읍과 19리(기린리, 다전리, 대촌리, 대풍리, 동사리, 냉정리, 연풍리, 용석리, 백천리, 상월리, 상하리, 석교리, 석련리, 수현리, 안창리, 주암리, 지택리, 진천리, 평화리)를 관할하고 있다.

현황

인산군의 경제는 지방공업과 농업이 주를 이룬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일용품, 종이, 건재, 화학, 기계, 제약 공업이 이뤄지고 있으나, 공업 총생산액의 31.7%를 식료품공업이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제약 공업이란 이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약초자원을 기초로 한 것으로, 인산군은 북한에서 약초 생산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특히 상하리는 약초재배 비율이 가장 높은 곳으로, 함박꽃, 도라지, 당귀, 목향, 산수유, 마, 미나리, 율무, 황기 등의 약초를 생산하여 북한 전국의 제약공장에 공급하고 있다.

은파천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인산분지(麟山盆地) 지역과 평화리, 동사리, 지택리 부근이 인산군 농경지면적의 23%를 차자하며, 이 외에 누천과 은파천, 서흥강 상류연안에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 벼, 콩, 담배 등이며, 벼는 주로 은파천과 누천 연안 지역에서, 그리고 옥수수는 그밖의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또한 인산군은 예로부터 담배(황색초)가 많이 산출되었던 곳으로, 현재는 주로 안창리, 평화리, 인산읍, 대촌리, 석련리, 동사리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인산군의 교통은 도로교통이 기본을 이루고 있다. 평부선의 서흥역과 연결되는 서흥∼인산 사이에 중심도로가 있으며, 이밖에 평산, 은파, 신원, 봉천 방면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부설되어 있다.

광복 이전에는 교육시설이 매우 미흡했던 지역이나, 현재에는 인산농업전문학교를 비롯하여 21개의 중학교와 23개의 소학교, 그리고 110여 개의 유치원이 있다. 인산군인민병원과 인산군산업병원을 비롯하여 27개의 치료 예방기관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인산문화회관, 인산인민도서관, 인산체육관 등의 문화시설도 있다.

인산읍에서 40㎞ 떨어진 주암리의 서북쪽을 흐르는 장산천과 용바위천의 중간에 있는 구릉지대에는 인산주암리유적(麟山舟岩里遺蹟)이 있다. 1965년에 발굴된 곳으로, 청동기시대의 집터와 돌널무덤 및 고인돌 유적을 찾아볼 수 있는 곳이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2008년 인구조사』(조선중앙통계국, 2009)
『조선향토대백과』7(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황해도지(黃海道誌)』(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