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밤가시 초가 ( 밤가시 )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조선 후기에, 경기도 고양시 일산 동구에 지어진 민가.
유적/건물
건축 양식
민가
건립 시기
조선 후기
정면 칸수
4.5칸
측면 칸수
4칸
정면 너비
10.159m
측면 길이
10.412m
건물 높이
4.603m
건물 층수
1층
규모
일곽 4,267㎡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일산밤가시초가(一山밤가시草家)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91년 10월 19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햇살로105번길 36-7 (정발산동, 일산밤가시초가집 일산민속전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일산 밤가시 초가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경기도 고양시 일산 동구에 있는 민가이다. 주로 밤나무를 이용해 건축하였고, 안마당을 중심으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문간채가 연결되어 ㅁ자형 배치를 이루며, 안마당 위를 비우고 초가지붕을 똬리 모양으로 이었다. 안채는 본래는 봉당이었던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 건넌방, 사랑방으로 구성된 몸채에 안방 쪽에서 부엌이 돌출한 ㄱ자형이다. 문간채는 남쪽 중간에 대문간이 있고 그 오른쪽으로 꺾여 창고와 변소가 이어져 ㄴ자를 이룬다.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상과 민가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집이다.

정의
조선 후기에, 경기도 고양시 일산 동구에 지어진 민가.
건립 경위

일산 밤가시 초가(一山 밤가시 草家)는 경기도 일산의 정발산 북동쪽, 과거 단양이씨(丹陽李氏)들이 모여 살던 밤가시 마을에, 이 지역에 많았던 밤나무를 이용해 지은 초가집이다. 이 집은 기둥, 대들보, 서까래 같은 구조재뿐만 아니라 벽선, 창호 같은 수장재(修粧材)도 밤나무를 재료로 하였으며 19세기 중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이 집은 마을 속에 있었으나 1991년 일산 신도시 개발로 마을이 사라지고 이 집만 홀로 남아 본래의 주변 상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일산 신도시의 택지(宅地)를 개발할 때 주변 지반의 높이를 본래 상태보다 낮게 조성하면서 이 집이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었다. 안채의 대청(大廳)은 본래 봉당(封堂)이라고 부르는, 흙바닥 공간이었는데 나중에 마루를 깔았다.

형태와 특징

일산 밤가시 초가는 가운데에 움푹 파진 안마당을 중심으로 남서쪽의 ㄱ자형 안채와 북동쪽의 ㄴ자형 문간채가 연결되어 ㅁ자형 배치를 하고 있다. 각 채들은 자연석으로 된 허튼층의 기단(基壇) 위에 놓여 있는데, 안마당 위를 동그랗게 비우고 초가지붕을 똬리 모양으로 이었다. 기단의 높이는 안채가 높고 문간채는 낮다. 또한 문간채의 기단은 집 뒤의 북쪽에서 집 앞의 남쪽으로 완만하게 낮아진다. 지붕도 기단 높이의 변화를 따라 기울어져 있다. 비나 눈이 올 때 낙숫물은 막돌로 테두리를 두른, 동그란 모양의 안마당에 모여 부엌 같은 곳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배수되도록 처리하였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 건넌방, 사랑방으로 구성된 몸채에 안방 쪽에서 부엌이 한 칸 반 돌출해 ㄱ자형을 이룬다. 이 집의 가구(架構)는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건너지르고 4개의 도리를 얹은 평사량(平四梁) 구조이다. 문간채는 남쪽 중간에 대문간이 있다. 그 오른쪽(동쪽)으로 꺾여 창고 3칸과 변소가 이어져 ㄴ자를 이룬다. 문간채는 모두 흙바닥 공간이고, 가구는 3량 구조다.

의의 및 평가

이 집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똬리 모양의 초가지붕을 한 민가(民家)로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상을 잘 보여 준다. 또한 이 집은 봉당이 대청으로 변모한 모습, 초가지붕의 구성, 안마당을 통한 햇볕의 유입과 빗물 처리, 밤나무 재료를 도끼와 자귀로 치목(治木)해서 집을 지은 기법 등을 통해 조선 후기 민가 건축의 공간과 구조, 기법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 자산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도 고양시, 『2009년도 경기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일산 밤가시초가』(경기도 고양시, 2009)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