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죽산박씨 종가 ( )

주생활
유적
문화재
조선 후기에 지어진, 전라북도 남원시에 남아 있는 한옥.
이칭
약칭
죽산박씨 종가
이칭
남원 죽산박씨 종택
유적/건물
건축 양식
한옥
건립 시기
조선 후기
정면 칸수
안채 5칸, 사랑채 4칸
측면 칸수
안채 3칸, 사랑채 2칸
정면 너비
안채 13.73m, 사랑채 10.867m
측면 길이
안채 7.69m, 사랑채 3.857m
건물 높이
안채 4.687m, 사랑채 4.843m
건물 층수
1층
규모
일원 2,872㎡
소재지
전라북도 남원시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전라북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00년 6월 23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남원시
내용 요약

남원 죽산박씨 종가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한옥이다. 고려 말의 충신 박문수(朴門壽)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안홈실 마을에 지어진 종가로, 안채는 1841년(헌종 7)에 지어졌고, 사랑채는 18세기 말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사지에 안채, 사랑채, 문간채가 남서향으로 배치됐고 안채 뒤 높은 곳에 남향의 부조묘(不祧廟)가 있다. 사랑채는 일자형, 안채는 ㄷ자형 건물이다. 남원 죽산박씨 종가는 전통 마을인 안홈실 마을을 대표하는 전통 한옥이며, 박문수의 부조묘가 있어 역사적 의미가 큰 문화 자산이다.

정의
조선 후기에 지어진, 전라북도 남원시에 남아 있는 한옥.
건립 경위

남원 죽산박씨 종가(南原 竹山朴氏 宗家)는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에 있는, 죽산박씨 씨족 마을인 내호곡(內好谷) 마을(안홈실 마을)에 위치한다. 내호곡 마을은 고려 말에 우정승(右政丞)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고려 왕조의 신하로서 절개를 지킨 박문수(朴門壽)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 마을의 본래 이름은 호음산(虎音山)이었는데 마을 형국이 호랑이가 누워 있는 모양이고 호두산(虎頭山, 지금의 견두산)에서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린다고 해서 그렇게 불렸다고 한다. 이후 마을이 커져서 안홈실과 밧(바깥)홈실로 나뉘었는데, 행정구역 개편 때 안홈실을, 호(虎)자가 불길하다는 이유로 좋을 호(好)자로 바꿔 내호곡이라고 개칭하였다. 이 집의 주4는 1841년(헌종 7)에 지어졌으며 주5는 18세기 말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근래에 안채의 부엌 옆으로 화장실을 덧붙이는 등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형태와 특징

경사지에 안채, 사랑채, 문간채를 남서향으로 배치하였다. 안채의 뒤 북동쪽 높은 곳에 충현공(忠顯公)의 주1를 모신 별묘(別廟)인 부조묘(不祧廟)가 남향을 하고 있다. 문간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건물로 가운데 칸에 주6을 설치하였다. 이 대문간에는 충신, 효자, 열녀를 모두 배출한 집안임을 나타내는 삼강문(三綱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가구는 3량 구조이며 지붕은 홑처마 맞배 기와지붕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높은 축대 위에 세워진 사랑채와 마주한다. 사랑채는 세 칸의 온돌방과 한 칸의 주7으로 구성된 일자형 건물이다. 앞에서 보아 오른쪽 두 칸(큰사랑방과 대청)의 전면은 반 칸 깊이의 주8로 처리하고 칸 가운데에 각각 원기둥을 세웠다. 다른 기둥은 모두 주9이다. 나머지 두 칸은 앞에 쪽마루를 덧댔다. 사랑채의 가구는 주2를 두었음에도 주10를 사용하지 않은 3량 구조이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 기와지붕이다.

사랑채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면 주11에 이르는데 안채는 낮은 잡석 기단 위에 자리하였다. 안채는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으로 이루어진 5칸의 주12에 양쪽에서 두 칸씩 돌출한 ㄷ자형 건물이다. 몸채의 안방과 대청 앞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으며 가구는 3량 구조이다. 기둥은 모두 원기둥을 썼고, 홑처마 맞배 기와지붕을 이었다. 안채의 오른쪽으로 가면 삼문이 있고 안으로 3칸에 주13를 붙인 부조묘가 있는데 가구는 3량 구조이다. 지붕은 전면은 겹처마, 후면은 홑처마이며 주3으로 양 측면에 주14을 설치하였다. 기둥은 모두 원기둥을 사용하였다.

의의 및 평가

고려 후기 충신인 박문수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안홈실 마을은 전라북도에서 전통 마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을이다. 남원 죽산박씨 종가는 인접한, 남원 몽심재 고택과 함께 이 마을을 대표하는 전통 한옥이며, 부조묘에는 충현공 박문수의 불천위가 모셔져 있어 역사적 의미가 큰 문화 자산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남원 죽산박씨종가』(2012, 전라북도 남원시)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s://www.cha.go.kr)
주석
주1

예전에, 큰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神位). 우리말샘

주2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우리말샘

주3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이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우리말샘

주4

한 집 안에 안팎 두 채 이상의 집이 있을 때, 안에 있는 집채. 우리말샘

주5

사랑으로 쓰는 집채. 우리말샘

주6

행랑채의 지붕보다 높이 솟게 지은 대문. 좌우의 행랑채보다 기둥을 훨씬 높이어 우뚝 솟게 짓는다. 우리말샘

주7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우리말샘

주8

툇간에 놓은 마루. 우리말샘

주9

네모진 기둥. 우리말샘

주10

안둘렛간을 감싸고 있는 기둥. 우리말샘

주11

집 안의 안채 앞에 있는 마당. 우리말샘

주12

여러 채로 된 살림집에서 주가 되는 집채. 우리말샘

주13

집채의 앞쪽에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우리말샘

주14

박공집으로 지은 전각이나 신당(神堂)의 두 쪽 박공 아래에, 바람과 비를 막으려고 길이로 잇대는 널빤지. 우리말샘

집필자
한필원(한남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