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생가 ( )

주생활
유적
문화재
조선 후기, 경기도 여주에 지어진 한옥.
유적/건물
건축 양식
한옥
건립 시기
조선 후기
정면 칸수
안채 5.5칸, 사랑채 6칸
측면 칸수
안채 7칸, 사랑채 4칸
정면 너비
안채 13.157m, 사랑채 13.968m
측면 길이
안채 16.883m, 사랑채 9.693m
건물 높이
안채 몸채 4.792m, 날개채 4.208m, 사랑채 4.117m
건물 층수
1층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1973년 7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내용 요약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후기에 지어져서 경기도 여주시에 남아 있는 한옥이다. 이 집은 1687년에 지어졌으며, 본래 묘막으로 사용되었다. 이 집에서 명성황후가 태어나 8세 때까지 살았다. 앞에 긴 일자형 행랑채가 있고 그 뒤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튼 ㅁ자형 배치를 이룬다. 안채의 뒤란에는 장독대와 변소가 있고 사랑채 옆에 초가인 별당채가 있다. 이 집은 조선 후기 일반적인 양반 가옥의 배치와 건축 양식을 보여 준다. 그러나 안채의 몸채와 날개채에 각각 큰 저장 공간을 마련한 것에서 애초의 용도인 묘막의 특징을 볼 수 있다.

정의
조선 후기, 경기도 여주에 지어진 한옥.
건립 경위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 주17는 1687년(숙종 13)에 처음 지어졌다. 본래, 이 집은 숙종(肅宗)의 비(妃)였던 인현왕후(仁顯王后, 1667~1701)의 부친이자 명성황후의 6대 조부인 민유중(閔維重, 1630~1687)의 묘를 관리하는 주2으로 사용되었다. 묘를 관리하던 직계 후손 민치록(閔致祿)이 이 집에서 명성황후를 낳았고 명성황후는 이 집에서 8세 때(1858)까지 살았다. 명성황후는 8세 때 부친 민치록이 타계하였고 어머니와 함께 서울 안국동의 감고당(感古堂)에서 살았다. 감고당은 인현왕후의 친정집이었다. 명성황후의 생가 옆에는 명성황후의 주3을 기념해 1904년(광무 8)에 세운 「명성황후 탄강구리비(明成皇后誕降舊里碑)」가 있다.

변천

명성황후 생가는 여러 차례 보수 · 개조 · 주4되어 현재는 묘막의 모습을 찾아 보기 어렵고 건립 당시의 건물로는 주6만이 남아 있다. 안채는 1975년과 1976년에 주5되었다. 1996년에는 안채가 수리되었고 행랑채주7, 별당채 등이 복원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형태와 특징

이 집은 마을 뒷산에 민유중의 묘가 있어서 능말이라 불리는 마을에 남서향으로 자리하였다. 앞에 긴 일자형 행랑채가 있고 그 뒤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튼 ㅁ자형 배치를 이룬다. 안채의 주8에는 장독대와 변소가 있고 사랑채 옆에 별당채가 있다. 사랑채 방과 안채 주9 사이, 그리고 사랑채 부엌과 변소 사이에는 주10을 설치한 담을 쌓아 별당의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행랑채는 정면 6칸, 측면 한 칸 규모로, 대문간 양쪽에 방과 창고가 있다. 가구는 3량 구조, 지붕은 주13 맞배 기와지붕이다. 행랑채 오른쪽에 별동으로 변소가 있다.

안채는 주18, 대청, 주19, 마루광으로 구성된 겹집형 몸채에 윗방에서 돌출한 안방, 부엌, 광, 방이 날개채를 이룬다. 대청과 건넌방의 앞과, 윗방의 옆(북서쪽)은 주11으로 구성해 주12를 설치하였다. 날개채는 뒤에 툇간을 둔 주20 집이다. 가구는 몸채가 주16 5량 구조이고, 날개채는 4량 구조이다. 지붕은 홑처마 주14주15 기와지붕이다.

사랑채는 안채와 이어지는 중문간, 대청, 사랑방, 헛간, 그리고 헛간에서 꺾여 이어지는 방 3칸으로 구성되었다. 가구는 3량 구조이며, 지붕은 홑처마 맞배와 우진각 기와지붕이다. 별당채는 대청 2칸과 방 한 칸으로 구성되는데 앞 툇간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가구는 1고주 5량 구조, 지붕은 우진각 초가지붕이다.

의의 및 평가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후기 일반적인 양반 가옥의 배치와 건축 양식을 보여 준다. 그러나 안채의 몸채와 날개채에 각각 큰 저장 공간을 마련한 것에서 애초의 용도인 묘막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도, 『2007년도 경기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 보고서 명성황후 생가, 해평윤씨 동강공파 종택』(경기도, 2008)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3100460000)
주석
주2

무덤 가까이에 지은, 묘지기가 사는 작은 집. 우리말샘

주3

임금이나 성인(聖人)이 태어남. 우리말샘

주4

절이나 왕궁 따위를 보수하거나 고쳐 지음. 우리말샘

주5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침. 우리말샘

주6

한 집 안에 안팎 두 채 이상의 집이 있을 때, 안에 있는 집채. 우리말샘

주7

사랑으로 쓰는 집채. 우리말샘

주8

집 뒤 울타리의 안. 우리말샘

주9

마루를 깐 광. 우리말샘

주10

삼문(三門) 가운데 좌우에 달린 작은 문. 동협문, 서협문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안둘렛간 밖에다 딴 기둥을 세워 만든 칸살. 우리말샘

주12

툇간에 놓은 마루. 우리말샘

주13

부연을 달지 않고 처마 서까래만으로 된 처마. 우리말샘

주14

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 우리말샘

주15

네 개의 추녀마루가 동마루에 몰려 붙은 지붕으로 지은 집. 우리말샘

주16

안둘렛간을 감싸고 있는 기둥. 우리말샘

주17

어떤 사람이 태어난 집. 우리말샘

주18

이어져 있는 두 방 가운데 위쪽 방. 우리말샘

주19

안방에서 대청을 건너 맞은편에 있는 방. 우리말샘

주20

집채의 뒤쪽으로 있는 물림(본채의 앞뒤나 좌우에 딸린 반 칸 너비의 칸살). 우리말샘

집필자
한필원(한남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