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공산정 고택 ( )

주생활
유적
문화재
조선 후기에 건립된,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한옥.
이칭
약칭
공산정 고택
이칭
음성 서정우가옥
유적/건물
건축 양식
한옥
건립 시기
조선 후기
정면 칸수
안채 5칸, 사랑채(문간채) 5.5칸
측면 칸수
안채 4칸, 사랑채(문간채) 4칸
정면 너비
안채 11.64m, 사랑채(문간채) 13.36m
측면 길이
안채 9.39m, 사랑채(문간채) 9.12m
건물 높이
안채 4.25m, 사랑채(문간채) 4.54m
건물 층수
1층
소재지
충청북도 음성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1984년 1월 14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음성군
내용 요약

음성 공산정 고택은 조선 후기에 건립된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한옥이다. 각각 ㄱ자형인 안채와 사랑채가 안마당을 둘러싸는 튼ㅁ자형 배치를 이루는데, 실들 앞에는 툇마루를 설치해서 실과 마당이 긴밀히 연결되도록 하였다. 생활의 필요에 따라서 툇간을 반침, 골방 등 수납 공간이나 함실 등 부속 공간으로 조성하기도 하였다. 높은 툇마루와 부엌 위 다락에서 볼 수 있듯이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해 효율적으로 활용한 것도 이 주택의 특징이다.

정의
조선 후기에 건립된,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한옥.
건립 경위

단군 기원 후 4257년 갑자년 7월(檀君紀元後四二五七年甲子年七月)이라는 안채 상량문(上樑文)에서 1924년에 집을 수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볼 때, 집을 처음 지은 시기는 그보다 앞선 19세기 중반 또는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주1문간채가 결합된 또 하나의 채는 1924년 안채를 주2할 때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에 붙여 지은 초가의 우사(寓舍: 헛간채) 등 다른 부속채들은 최근에 지은 것이다.

변천

안채와 사랑채 · 문간채는 본래의 모습을 대체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과거에 문간채에는 지금과 달리 대문간 쪽으로 벽장과 다락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로부터 2칸 곳간은 한때 방으로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집의 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은 ‘음성 서정우가옥’이었으나, 마을 뒷산이 ‘공(公)’자처럼 보이고 과거에 정자와 정자나무가 있어 공산정이 마을이라고 불린 것을 반영하여 2007년 1월 29일에 ‘음성 공산정 고택(陰城 公山亭 古宅)’으로 문화재 명칭을 변경하였다.

형태와 특징

ㄱ자형 안채가 남동향으로 자리하고 맞은편에 사랑채와 문간채가 결합된 ㄴ자형 건물이 배치되어 안마당을 둘러싸는 튼ㅁ자형 배치가 되었다.

안채는 가운데 두 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그 오른쪽(북동쪽)에 건넌방, 왼쪽(남서쪽)에 웃방을 나란히 두어 몸채를 이루고 웃방 앞으로 안방과 부엌이 이어져 날개채를 이룬다. 안방과 부엌은 각각 사방 1칸 반, 웃방과 건넌방은 1칸 크기다. 안방은 뒤(서쪽) 툇간에 반칸 주5을 두고 부엌 위에도 반칸 깊이의 다락을 설치해 별도의 수납 공간을 갖추고 있다. 부엌에는 연기나 김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주3을 지붕에 시설한 것이 특이하다. 안채를 이루는 각 실에는 한쪽에 툇간이 부가되었는데 건넌방만은 전면과 측면에 툇간이 더해졌다. 부엌을 제외하고는 툇간에 툇마루를 설치해서 실과 앞의 마당이 원활히 연결되도록 하였다. 건넌방의 앞 퇴와 옆 퇴가 만나는 모서리의 툇마루는 누마루처럼 높였고 그 뒤는 주6로 조성하였다. 안채의 가구는 1고주 5량 구조이고 지붕은 주4 팔작지붕이다.

집으로 접근할 때 두 단의 기단 위에 놓인 사랑채가 정면으로 보이고 오른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대문간이 나온다. 사랑채는 서측부터 부엌, 아랫사랑방, 윗사랑방, 대청, 그리고 꺾여서 방, 대문간, 2칸 곳간으로 이루어지는 문간채가 이어진다. 사랑채 부엌 위에는 다락을 설치해 수납 공간으로 사용한다. 사랑채도 정면(남쪽)에 툇간을 두었다. 부엌 앞을 제외한 나머지 세 칸에는 툇마루를 설치해서 앞의 사랑마당(바깥마당)과 원활히 연결된다. 부엌 앞 툇간은 골방으로 조성해서 부엌만은 집 바깥쪽 사랑마당이 아니라 안마당 쪽에서 진입하도록 했다. 사랑채의 가구는 1고주 5량 구조, 문간채는 3량 구조이며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의의 및 평가

음성 공산정 고택은 칸과 퇴를 적절히 결합해 채를 구성하고 그것들이 안마당을 둘러싸도록 배치하였다. 1칸에서 2칸 크기의 실들에는 툇간이 덧붙여지는데 툇간에는 주로 툇마루를 설치해 실을 앞의 마당과 긴밀히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의 용도와 생활의 필요에 따라 툇간을 반침, 골방 등 수납 공간이나 함실 등 부속 공간으로 조성하기도 하였다. 또한 높은 툇마루와 부엌 위 다락에서 볼 수 있듯이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해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음성 공산정 고택의 특징에서 조선 후기의 농가 생활과 주거 공간의 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충청북도 문화재대관』 2(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7)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s://www.cha.go.kr)
주석
주1

사랑으로 쓰는 집채. 우리말샘

주2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침. 우리말샘

주3

겹집에서, 용마루 양쪽에 환기구로 뚫어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4

부연을 달지 않고 처마 서까래만으로 된 처마. 우리말샘

주5

큰 방에 딸린 조그만 방.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 두는 데에 쓴다. 우리말샘

주6

부넘기가 없이 불길이 그냥 곧게 고래로 들어가게 된 아궁이 구조. 우리말샘

집필자
한필원(한남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