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고취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조선시대에, 임금 또는 왕비의 공식적인 행차 때 어연(御輦) 앞에서 이동하며 연주한 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부고취는 조선시대에 임금 또는 왕비의 공식적인 행차 때 어연(御輦) 앞에서 이동하며 연주한 악대이다. 행차의 규모에 따라 후부고취와 함께 쓰이거나 단독으로 쓰였고,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박‧피리‧대금‧당적‧퉁소‧당비파‧장고‧해금‧방향‧교방고 등,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 편성되었는데, 이중 해금은 조선 전기에는 전부고취에 편성되지 않다가 후기에 추가되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임금 또는 왕비의 공식적인 행차 때 어연(御輦) 앞에서 이동하며 연주한 악대.
내용

행악(行樂)주1으로 쓰이는 전부고취의 특성상 모두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 편성되었다. 악기 종류와 수효는 시기에 따라 가감되었는데, 『악학궤범(樂學軌範)』 편찬 당시에는 ‘박(拍) 1, 피리 · 대금 각 6, 당적 4, 퉁소 · 당비파 · 장고 각 6, 방향 · 교방고 각 1’이었는데, 이후 조선 후기의 『노부식(鹵簿式, 1762년, 영조 38)』에는 ‘박 1, 피리 · 대금 각 8, 당적 · 퉁소 · 비파 · 장고 · 해금 각 2, 방향 · 교방고 각 1’, 『춘관통고(春官通考, 1788년, 정조 12)』에는 ‘박 1, 피리 4, 대금 6, 당적 · 퉁소 · 비파 · 장고 · 해금 · 교방고 각 2’, 『대한예전(大韓禮典)』에는 ‘박 1, 피리 · 대금 각 8, 당적 · 퉁소 · 비파 · 장고 · 해금 각 2, 방향 · 교방고 각 1’로 기록되었다.

방향과 교방고는 악기 구조상 이를 메거나 들고 가는 별도의 악공이 필요했으며, 맨손의 악공도 전부고취 대열을 따랐다. 따라서 『악학궤범』과 『춘관통고』 당시의 연주자는 집박 포함 각각 37명과 23명에 지나지 않았지만, 전부고취의 인원이 『악학궤범』에는 주2 1인과 악공 50명’, 『춘관통고』에는 ‘집박악사 1인과 악공 40명’으로 기록되었다. 조선 전기와 후기의 전부고취를 비교해 보면, 전기에는 피리 · 대금 · 퉁소 · 당비파 · 장고가 같은 비중으로 편성된 반면, 후기에는 피리와 대금의 비중이 다른 악기들에 비해 월등히 커지고 해금이 추가된 특징이 있다.

행차의 규모에 따라 전부고취는 후부고취(後部鼓吹)와 함께 쓰이기도 하고, 전부고취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임금이 주3주4를 맞이할 때와 종묘 · 사직에 친히 제사 지낼 때에는 대가노부(大駕鹵簿)를 주5, 문묘(文廟)주6에 친히 제사 지낼 때, 사단(射壇)에서 활 쏘는 의식과 활 쏘는 것을 관람하는 의식, 그리고 주7를 행할 때에는 법가노부(法駕鹵簿)를 차려 놓는데, 이 경우 전부고취와 함께 후부고취가 따랐다. 능(陵)에 참배할 때와 평상시 문밖에 행차할 때에는 소가노부(小駕鹵簿)를 진설하는데, 이 경우에는 전부고취만 따랐다. 왕비의장(王妃儀仗)의 경우에도 후부고취 없이 전부고취만 따랐다. 후부고취의 악기 편성은 전부고취와 똑같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따르면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여민락령(與民樂令)」을 행악으로 연주하였다. 그러나 재계(齋戒)국상(國喪) 중일 때는 진설은 하되 연주하지 않았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직 · 종묘 · 문묘 · 주8 등에 갈 때는 재계 중이므로 진설만 하고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를 연주하지는 않았으며, 제사를 마치고 환궁할 때에 비로소 연주하였다. 장례를 지내기 위해 산릉에 갈 때도 진설만 하고 연주하지는 않았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권2
『노부식(鹵簿式)』
『대한예전(大韓禮典)』 권5
『세종실록(世宗實錄)』 권132
『악학궤범(樂學軌範)』 권2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105
『춘관통고(春官通考)』 권67
주석
주1

국악에서, 행진할 때 연주하는 풍류. 우리말샘

주2

나라의 제사나 큰 잔치 때에, 집사악사의 지휘에 따라 음악의 시작과 끝냄을 박을 쳐서 지휘하던 악관. 등가악(登歌樂)과 헌가악(軒架樂)에 각각 한 사람씩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임금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릴 목적으로 적은 문서. 우리말샘

주4

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 우리말샘

주5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다. 우리말샘

주6

처음으로 농사를 가르친 신이라는 뜻으로, ‘신농씨’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무과 복시의 합격자에게 임금이 친히 참석한 자리에서 실시하던 무과 시험. 무과의 마지막 단계로, 이 시험의 성적에 따라 갑과(甲科)ㆍ을과(乙科)ㆍ병과(丙科)의 등급을 정하여 뽑았으며, 특히 갑과에 수석한 사람을 장원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샘

주8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풍년이 들기를 빌던 제단. 서울 동대문 밖에 있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