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삼 ()

추재집
추재집
한문학
인물
조선후기 「서구도올」, 「북행백절」, 「석고가」 등을 저술한 시인. 여항시인.
이칭
지원(芝園), 자익(子翼)
추재(秋齋), 경원(經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2년(영조 38)
사망 연도
1849년(헌종 15)
본관
한양(漢陽, 지금의 서울)
정의
조선후기 「서구도올」, 「북행백절」, 「석고가」 등을 저술한 시인. 여항시인.
개설

본관은 한양(漢陽). 초명은 경유(景濰). 자는 지원(芝園) · 자익(子翼), 호는 추재(秋齋) · 경원(經畹). 아버지는 가선대부 한성부좌윤 겸 오위도총부부총관(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에 추증된 조원문(趙元文)이다. 여항시인 조경렴(趙景濂)의 동생이고, 조선 말기의 화원(畫員)조중묵(趙重默)은 그의 손자이다.

구자균(具滋均)은 『한국평민문학사(韓國平民文學史)』에서 조수삼의 신분은 서리(胥吏)일 것이라고 추정하였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대개 역과중인(譯科中人) 출신으로 알려지고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조수삼은 신분의 제한으로 1844년(헌종 10) 83세의 나이로 진사시에 합격했다.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의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했으며 정이조(丁彛祚) · 이단전(李亶佃) · 강진(姜溍) · 조희룡(趙熙龍) · 김낙서(金洛瑞) · 장혼(張混) · 박윤묵(朴允默) 등 여항시인과 사귀었다.

그리고 김정희(金正喜) · 김명희(金命喜) · 조인영(趙寅永) · 조만영(趙萬永) · 한치원(韓致元) · 남상교(南尙敎) · 이만용(李晩用) 등 당시의 쟁쟁한 사대부 문인과도 친하게 지냈다. 특히, 조인영 · 조만영은 풍양 조씨 세도정치의 중추인물이다. 이들은 조수삼의 후원자 역할을 했다.

관직에 나간 이력이 없는 조수삼의 삶은 여행으로 특징지어 진다. 1789년(정조 13) 이성원(李性源, 1725-1790)을 따라 처음으로 중국에 간 이래로 여섯 차례나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이때에 당대 중국의 일류문사인 오숭량(吳崇梁) · 유희해(劉喜海) · 강련(江漣) · 주문한(朱文翰) 등과 사귀었다. 그리고 전국에 발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국내 각지를 빠짐없이 여행하며 많은 시를 남겼다.

조수삼의 시는 대개 전기 · 후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전기에서는 생활주변이나 자연을 소재로 하여 대상과의 조화를 추구한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후기로 올수록 사회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이 많아진다. 또 장편시도 눈에 뜨이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김정희는 주1의 시풍과 근접한다고 평하고 있다.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서구도올(西寇檮杌)」, 관북지방을 여행하면서 당시의 민중의 비참한 생활상을 묘파한 「북행백절(北行百絶)」 은 조수삼 시가 지니는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밖에도 「석고가(石鼓歌)」 · 「억석행(憶昔行)」 · 「병치행(病齒行)」 등도 장편거작으로 인구에 회자되던 작품이다.

그리고 당시의 도시하층민들의 생기발랄한 모습을 산문으로 쓰고 칠언절구의 시를 덧붙인 형식으로 되어 있는 「추재기이(秋齋紀異)」, 중국 주변의 여러 나라에 대한 짧은 산문과 시의 결합으로 구성된 「외이죽지사(外夷竹枝詞)」 등은 한문학사상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저서로는 『추재집』 8권 4책이 있다.

참고문헌

『추재집(秋齋集)』
『호산외기(壺山外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한국평민문학사』(구자균, 고려문화사, 1948)
주석
주1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시성’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 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명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