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의중(毅仲), 호는 후계(後溪).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조형(趙珩)이고, 아버지는 현감 조상변(趙相抃)이다.
1683년(숙종 9)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88년 관학(館學)의 유생으로서 박세채(朴世采)의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94년 천거로 희릉참봉(禧陵參奉)을 거쳐,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연풍현감(延豊縣監)·옥천군수·회양부사를 지냈고, 이어 선공감부정·장악원정·무주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732년(영조 8) 아들 조적명(趙迪命)이 참판이 되자 통정대부에 올라 첨지중추부사가 되었고, 돈녕부도정·오위장을 거쳐 판결사에 이르렀다. 1741년 조구명(趙龜命)의 시문집인 『동계집(東谿集)』을 왕명을 받아 간행하고 발문을 썼다. 시에 능하였으며, 문집으로 『후계집(後溪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