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반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왕조 시대에, 국왕의 근친으로 종친 반열에 오른 사람을 가리키는 왕실 호칭.
이칭
이칭
종친, 종실
내용 요약

종반은 왕조 시대에 국왕의 근친으로 종친 반열에 오른 사람을 가리키는 왕실 호칭이다. 조선시대 종반은 국왕의 4대손까지이며 4대가 넘으면 일반 문무관과 같이 과거 응시가 가능하고 관직에도 나갈 수 있다. 종반은 종학에서 수학하며, 종반계와 종반직에 봉작된다. 종반의 지위는 국왕과의 촌수, 적서에 따라 다르다. 왕자는 무품(無品)이나, 그 외의 종반은 지위에 따라 정1품에서 정6품까지의 종반직과 종반계가 주어졌다. 종반은 봉작만이 아니라 그에 걸맞는 경제적 예우를 하였고, 그에 따른 의무도 수행해야만 하였다.

목차
정의
왕조 시대에, 국왕의 근친으로 종친 반열에 오른 사람을 가리키는 왕실 호칭.
내용

종반은 왕족 · 종실 · 종친이라는 말과 엄격한 구분 없이 혼용해 사용하였다. 그 기원은 세습 왕조가 출현되면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의 신분과 특권이 법제화된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경국대전』 종친 부조에 의하면 '친촉의 주1가 다하면 문무관 자손의 예대로 관직에 나갈 수 있다[親盡則依文武官子孫例入仕].'에서 알 수 있듯이, 친족의 대수를 다하기 이전의 왕실 친족이 종반이다. 종반은 왕을 중심으로 4대까지로, 국왕의 8촌까지 종친부에 입속되고 9촌을 넘으면 일반 문무관과 같이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그러므로 종반은 왕의 근친, 곧 종친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종반은 종학(宗學)에서 수학하였으며, 이들은 봉작 대상으로 종반계와 종반직이 주어졌다. 종친의 지위에 따라 주2이 달랐다. 종친의 지위는 국왕과의 촌수, 적서에 따라 구분된다. 서자(庶子)의 경우라도 모친의 신분에 따라 지위가 달랐다.

종반계는 정1품에 현록대부(顯祿大夫) · 흥록대부(興祿大夫), 종1품에 소덕대부(昭德大夫) · 가덕대부(嘉德大夫), 정2품에 숭헌대부(崇憲大夫) · 승헌대부(承憲大夫), 종2품에 중의대부(中義大夫) · 정의대부(正義大夫), 정3품 당상에 명선대부(明善大夫)로 되어 있었다. 그 아래 정3품 당하에 창선대부(彰善大夫), 종3품에 보신대부(保信大夫) · 자신대부(資信大夫), 정4품에 선휘대부(宣徽大夫) · 광휘대부(廣徽大夫), 종4품에 봉성대부(奉成大夫) · 광성대부(光成大夫), 정5품에 통직랑(通直郎) · 병직랑(秉直郎), 종5품에 근절랑(謹節郎) · 신절랑(愼節郎), 정6품에 집순랑(集順郎) · 종순랑(從順郎)으로 되어 있다. 종반직은 주3유품(有品)으로 나뉜다. 무품은 대군 · 군에 봉작되는 왕자이다. 유품 종반직은 정1품~종2품 군(君), 정3품 도정(都正) · 정(正), 종3품 부정(副正), 정4품 수(守), 종4품 부수(副守), 정5품 영(令), 종5품 부령(副令), 정6품 감(監)이다.

유품 종반직에서 군호를 초직으로 받는 종친도 세 부류로 구분된다. 첫째, 대군적장자(大君嫡長子)에게는 종1품 군을, 둘째. 세자중자(世子衆子) · 대군적장손(大君嫡長孫) · 왕자군적장자(王子君嫡長子)에게 정2품 군을, 셋째, 세자중자(양첩) · 세자중손(世子衆孫) · 대군중자(大君衆子) · 대군적장증손(大君嫡長曾孫) · 왕자군적장손(王子君嫡長孫)에게 종2품의 군을 봉작하였다. 세자중자(천첩) · 세자서증손(양첩) · 세자중증손 · 대군중손(大君衆孫) · 왕자군중자(王子君衆子) · 왕자군중자적장증손(王子君衆子嫡長曾孫)에게는 정3품 정이, 세자서중손(천첩) · 세자서중증손(양첩) · 대군서중자(천첩) · 대군증손(양첩) · 대군중증손(大君衆曾孫) · 왕주군중자(양첩) · 왕자군중손(王子君衆孫)에게는 종3품 부정이, 세자서중증손(천첩) · 대군중손(천첩) · 대군중서증손(양첩) · 군중자(천첩) · 군중손은 정4품 수가, 대군중서증손(천접) · 군중서손(양첩) · 군적증손은 종4품 부수가, 군중서손(천첩) · 군중증손은 정5품 영이, 군중서증손(양첩)은 부령이, 군중서증손(천첩)은 정6품 감이 초수되었다.

이들이 받은 경제적 예우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대군은 태조 때 250결(結), 태종 때 300결, 세종 22년(1440) 250결, 『경국대전』에는 225결로 정해졌다. 왕자군은 세종 8년(1426)에 200결, 『경국대전』에 180결로 정해져서 정1품의 문무관이 받은 110결보다 훨씬 우대되었다. 그 밖의 종반은 품계에 따라 문무관과 같이 토지를 지급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종반은 주7되어 경제적 예우를 받는 권리만 있는 것은 아니다. 종반은 공식적으로 각종 국가 의례에 참석하고 국왕을 주4였다. 나라의 제사를 지내는 길례에서는 구광이 참석하는 사직 · 종묘 제사에 참여하였다. 정조 · 동지 · 중국 왕제와 황태자 생일에 행하는 망권례, 중국 칙서를 받거나 중국으로 주5을 보내는 의식, 국가 제사를 위하여 향을 전하는 의식, 왕실 혼례 등의 가례에 참석하였다. 가례에서 특히 왕실 혼례에서 왕세자 · 왕자 · 공주의 혼례에서는 혼주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다른 나라와 교류하는 빈례에는 조정에서 중국의 사신에게 연회를 베푸는 의식, 종친이 사신에게 연회를 베푸는 의식에 참여하였고, 군례(軍禮)에서는 국왕이 사단에 나가서 활쏘기를 하거나 활쏘기를 관람하는 의식, 국왕이 참관하는 대규모 군사 훈련 등에도 참석하였다. 그리고 종친의 역할이 많았던 것은 흉례로 국상이 나면 습전에서 주6까지 장례의 모든 절차에 참여하였다. 종반은 다양한 국가 의례에 참여해야 하므로 도성 내에 거주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태조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경국대전』
『동국문헌비고』

논문

강제훈, 「조선초기 종친직제의 정비와 운영」(『한국사연구』 151, 한국사연구회, 2010)
안광호, 「종반제 운영을 통해 본 조선 신분사회의 성격 -1908(융희 2)년에 간행된『璿源系譜紀略』을 중심으로-」(『전북사학』 41, 전북사학회, 2012)
원창애, 「조선 종친부의 체제 및 기능과 변천」(『사학연구』 114, 한국사학회, 2014)
최이돈, 「조선초기 왕실 친족의 신분적 성격 -관직 진출을 중심으로-」(『진단학보』 117, 진단학회, 2013)
주석
주1

세대(世代)의 수효. 우리말샘

주2

처음으로 하는 벼슬.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품계가 없던 일. 우리말샘

주4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하다. 우리말샘

주5

마음에 품은 생각을 적어서 임금에게 올리는 글. 우리말샘

주6

삼우제를 지낸 뒤에 곡을 끝낸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낸다. 우리말샘

주7

제후(諸侯)로 봉하고 관작(官爵)을 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