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대 마애 석불 ( )

목차
관련 정보
김해 초선대 마애석불
김해 초선대 마애석불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에 있는 초선대의 자연 암벽에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된 고려시대의 마애불.
목차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에 있는 초선대의 자연 암벽에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된 고려시대의 마애불.
내용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초선대는 가락국의 거등왕(居登王)이 칠점산(七点山)의 선인(仙人)을 초대하여 거문고와 바둑으로 서로 즐겼다고 하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으로 자그마한 동산 정도 규모이다.

그러나 이곳에는 대형 자연암들이 무리 지어 있고 마애불상 역시 이러한 대형 바위에 새겨진 것이다. 지금은 금선사(金仙寺)라는 절이 들어서서 불상은 절 안쪽으로 담장과 연하여 있다.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는 매우 낮은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표현되었다.

직사각형의 얼굴에 이마가 좁은데 비해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는 매우 크게 나타내었다. 눈은 옆으로 길고 코는 작으며 입술은 두툼하고 큰 편이다. 귀는 턱까지 내려오며 목에는 삼도(三道)를 형식적으로 새겨 놓았다.

직사각형의 넓은 어깨에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으며 상체에 늘어지는 법의 주름을 양어깨에서부터 4∼5줄의 세로줄 주름으로 표현하였다.

수인(手印)은 두 손을 들어 가슴 앞에서 모은 듯하나 표면이 떨어져 나가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없다. 무릎은 박락이 심하여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옆으로 긴 편이며 상하 폭은 넓지 않은 편이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상체의 윤곽을 따라 표현된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으로 구성되었다. 내부는 아무런 장식을 가하지 않았다.

대좌(臺座)는 반쪽은 떨어져 나가고 불상의 오른쪽 반만 남아 있는데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연화좌이다. 중판(重瓣)의 꽃잎을 표현하려 했음인지 하부에는 이중의 물결 같은 표현이 보이고 있어 특이하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평판적이며 표면은 박락이 심한데 신체 하부도 떨어져 나가 자세히 알아볼 수 없다. 전체적인 윤곽선이나 내부 선의 흐름 등이 정교하지 않으며 세부 처리에도 세심한 신경을 기울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굵은 선각으로 거구의 신체를 묘사한 고려시대 마애대불의 전통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집필자
심영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