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관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원나라가 설치한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원나라가 설치한 관직.
내용

총관(摠管)은 고려 후기 원나라가 고려를 간접통치하기 위하여 화주(和州: 영흥)·서경(西京: 평양)·탐라(耽羅: 제주)를 직할령으로 만들고 각각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동녕부(東寧府)·탐라총관부(耽羅摠管府)를 설치했을 때 총관부의 장관으로 두어진 직책이다. 구체적으로 총관의 설치 시기는 쌍성총관부의 경우 1258년(고종 45), 동녕부는 1270년(원종 11), 탐라총관부는 1275년(충렬왕 1)경에 이루어졌다. 이 3개의 총관부에 설치된 총관은 탐라총관부의 경우 1284년(충렬왕 10), 동녕부는 1290년(충렬왕 16), 쌍성총관부는 1356년(공민왕 5)에 폐지되었다. 그 밖에 심주(瀋州: 瀋陽) 등지의 지역에도 총관이 두어졌던 기록이 확인된다.

이 중 존속 시기가 가장 길고 원나라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였던 쌍성총관부의 총관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동녕부나 탐라총관부는 충렬왕과 고려 대신들의 요청에 의해 원나라가 고려에 환속시키는 형식으로 폐지되었지만, 쌍성총관부는 공민왕의 반원개혁정치의 일환으로 이 지역을 공격·수복하여 폐지될 때까지 고려를 견제·간섭하는 원나라 직할령으로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쌍성총관부의 설립과 그 성격」(이정신,『한국사학보』18, 2004)
「쌍성총관부고」(방동인,『관동사학』1, 1982:『한국의 국경획정연구』, 일조각,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