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총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개념
고대 삼국시대 흙으로 쌓아 올린 무덤 양식.
이칭
이칭
봉토분, 토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토총은 고대 삼국시대 흙으로 쌓아 올린 무덤 양식이다. 봉토분이라고도 한다. 봉토분은 매장 주체 시설인 묘와 그 위에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흙을 높이 쌓은 봉분이 결합되어 나타난 무덤을 말하는데, 동아시아에서 봉토분은 중국 춘추시대 말기 무렵에 출현한다. 근대 고고학이 성립될 즈음 옛무덤의 종류는 봉분을 쌓은 이 토총과 돌을 쌓아 무덤임을 표지한 석총(石塚)으로 구분하였으나 지금은 봉토분(封土憤)과 적석총(積石塚)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목차
정의
고대 삼국시대 흙으로 쌓아 올린 무덤 양식.
개설

동아시아의 무덤은 사체를 매납하는 시설인 묘(墓)와 이를 표시하는 분(墳)으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뒤의 무덤을 표지하고자 쌓아올린 분을 흙으로 쌓은 것을 토총(土塚), 돌을 쌓아 나타낸 것을 석총(石塚)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어는 근대 고고학이 시작될 무렵인 일제강점기 초기에 서로 대비되는 무덤 양식으로 인정되어 사용되었으나, 고고학이 발달하고 옛무덤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면서 지금은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는 토총은 봉토분(封土墳), 석총은 적석총(積石塚)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역사적 변천

토총은 중국의 중원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도 처음부터 매장 주체 시설을 지하에 설치하고 지표에 봉분을 올리는 토총의 방식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이전에는 땅속에 널이나 덧널을 매장 주체 시설로 사용하고 지표에는 아무런 표지를 하지 않았으나 그 말기 무렵에 봉분으로 무덤을 표지하기 시작하였고,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는 크게 유행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렇게 봉분으로 무덤을 표지하기 시작하면서 신분이 높은 인물들이 그 봉분을 자신의 위세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여 점점 커지게 되었는데 진시황릉(秦始皇陵)에서 그 정점을 이룬다.

한반도에는 청동기시대까지는 토총이 사용되지 않았고, 석총 계통의 고인돌과 적석총이 무덤의 주류였다. 그러나 초기 철기시대로 들어서면서 중국 전국시대의 연(燕)과 연접한 지역에 매장 주체 시설로 널무덤[木棺墓]을 채용하고 지표에 봉분을 쌓아올린 토총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고분이 고조선 말기의 주된 무덤 양식이 되었다.

낙랑이 설치되면서 중원식의 덧널무덤[木槨墓]이나 벽돌무덤[塼築墓]을 매장 주체로 한 토총이 서북한 지방의 주요 무덤 양식이 되었고, 앞의 널무덤을 주체로 한 고조선 말기 토총은 서기전 2∼3세기 한반도 남부지방으로 퍼져 주된 무덤 양식으로 자리하였다.

그러나 고구려가 자리한 압록강 중류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과거의 무덤 양식이었던 적석총이 축조되어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후 원삼국시대 후반기(서기전 150년 이후)에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낙랑에서 영향을 받은 덧널무덤을 매장 주체로 한 토총이 유행하였고, 삼국시대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무덤 양식이 지역별로 사용되었다.

고구려에서는 압록강 중류역에 수도가 있었을 때는 주로 석총인 적석총을 사용하였으나 평양으로 천도하면서 돌방[石室]을 매장 주체로 한 토총인 봉토분을 사용하였다.

백제는 초기에는 고구려와 유사한 적석총을 사용하였으나 한성(漢城) 시기 말기 즈음에 역시 돌방을 매장 주체로 한 봉토분이 채용되어 주류가 되었다.

신라는 덧널을 매장 주체 시설로 하고 그 주위와 위에 적석을 한 다음 흙을 덮어 마무리한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라는 독특한 무덤 양식을 사용하다가 6세기에 이르러 돌방을 매장 주체로 한 봉토분을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앞의 돌무지덧널무덤은 토총과 석총이 결합된 모습이다.

가야 지역의 경우는 구덩식돌덧널[竪穴式石槨]을 매장 주체로 한 봉토분을 주된 무덤 양식으로 사용하였고 말기에 돌방을 매장 주체로 한 봉토분이 나타났다.

토총의 봉분 형태는 반구형인 원형(圓形)이 보통이나 지역과 시기에 따라 피라미드의 머리를 잘라 낸 모양인 방대형(方臺形), 두 개의 원형이 합쳐져 표주박 모양을 한 표형(瓢形), 방형의 전면에 원형의 후면을 덧붙인 전방후원형(前方後圓形) 등이 사용되었다.

방대형은 고구려 지역과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유행하였고, 전방후원형은 삼국시대 호남지방에서 더러 축조되었다. 그외 신라와 가야, 백제 지역에서는 원형이 유행하였고, 표형은 신라의 특수한 형태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용성, 『신라 고분고고학의 탐색』(진인진, 2015)
梅原末治, 『朝鮮古代の墓制』(座右寶刊行會, 1947)

논문

최병현, 「한국 고분문화의 양상과 전개」(『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