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관잡기 ()

한문학
문헌
조선 전기, 어숙권이 시화, 일화 및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필기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573
저자
어숙권
편자
김려
권책수
6권 3책
판본
한문 필사본
표제
패관잡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내용 요약

『패관잡기』는 조선 전기 어숙권이 시화, 일화 및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필기집이다. 고려시대부터 당대까지의 시화, 일화, 외교 관련 기록, 풍속 등에 대한 내용을 망라하고 있으며, 현전하는 이본 중에 김려의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에 실린 6권본이 완본에 가깝다.

정의
조선 전기, 어숙권이 시화, 일화 및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필기집.
저자

어숙권(魚叔權)은 자는 대중(大中)이고 호는 야족당(也足堂), 예미(曳尾)이다. 정확한 출생 년도를 알 수 없으나 『패관잡기』를 통해 유추할 때 1510년에 출생하여 1573년 경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함종어씨세보(咸從魚氏世譜)』에 의하면, 조부는 아성군(牙城君)에 봉해지고 시호가 양숙(襄肅)인 어세공(魚世恭)이고, 부친은 양양부사를 지낸 어맹순(魚孟淳)이다. 어맹순의 서자인 어숙권은 이문학관을 지냈으며 어모장군(禦侮將軍), 부호군의 관직에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으로 주1.

서지 사항 및 이본 현황

6권 3책이다. 김려 편찬한 주2에 6권 완본이 들어 있었는데 오래 전에 일본에서 소실되었다. 『대동야승(大東野乘)』에는 4권까지, 『시화총림(詩話叢林)』에는 시화(詩話) 부분만 발췌, 수록되었다. 『양파담원(暘葩談苑)』에는 총 46화가 실려 있는데 이 중 8화는 『대동야승』본에 없는 내용이다. 김려의 『한고관외사(寒皐館外史)』본에는 이 내용이 모두 실려 있어 주3이라고 할 수 있다. 권 1은 80화, 권 2는 92화, 권 3은 79화, 권 4는 82화, 권 5는 75화, 권 6은 64화의 총 472화로, 『대동야승』본의 247화보다 226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패관잡기』 권 6 제462화에 1573년에 주청사(奏請使)를 따라 간 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볼 때, 최소한 1573년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책은 역사적 효용에 접근하는 비망적(備忘的) 특성이 강하며 사회, 문화, 역사, 문학 등의 범위를 망라하고 있다.

현존하는 『패관잡기』는 『대동야승』에 수록된 4권본과 『시화총림』 권 2에 초록된 시화 부분, 『한고관외사』의 6권본으로, 『대동야승』은 1909∼1911년에 경성고서간행회(京城古書刊行會)에서 13책으로 주5, 1968년 경희출판사에서 4책으로 간행하였다. 『시화총림』은 4권 4책의 필사본을 1973년 아세아문화사에서 복사, 간행하였고 『한고관외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2002년~2005년에 거쳐 5권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구성 및 내용

주원장(朱元璋)의 홍무(洪武) 원년부터 시작하여 조선 왕조의 건국과 함께 명나라에 오고 간 사절들과 요동(遼東) · 일본 · 대마도 · 주7 등지에 관련된 주8 · 풍속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사환(仕宦) · 주10 · 시인 · 주11들의 언행과 주12 · 기예(技藝) · 축첩(蓄妾) · 동요(童謠) 등에 관한 사실들을 보고 들은 그대로 기술하였다.

일례로 김시습(金時習)에 관한 일화를 소개한다. “김시습은 일찍이 속세를 떠나 중이 되었다. 부잣집 늙은이가 백단자(白段子)로 가사를 지어 그에게 주15, 그것을 입고 서울에 들어가 주16 속에 몸을 수십 번 구른 끝에 벗어서 던져 버렸다. 후에 세조(世祖)가 원각사(圓覺寺)에 행차하여 수륙재(水陸齋)를 차리는데 김시습이 신승(神僧)으로 부름을 받았다. 누덕누덕 기운 주18를 입고, 청어(靑魚) 한 마리를 품안에 매달았다. 왕께 나아가 뵐 때 청어 품은 것이 드러나니 세조가 미친 중이라 여겨 물리쳤다.”(『패관잡기』 권 4)

이외 고려시대부터 당대까지 문인들의 시화가 다수를 이루며 일본 사신과 얽힌 시화, 자신의 직계 선조 및 조선 초기 문인들의 작품과 관련된 내용이 많다. 또한 국내외 정치와 중국과 일본, 유구국(琉球國) 등 외교와 관련된 내용과 의약과 의술에 관련된 내용, 지리와 풍속, 회화, 속담, 과거 제도, 복식, 서적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김려는 「제패관잡기권후(題稗官雜記卷後)」에 “내 어릴 때부터 선배들이 매번 우리나라 야사를 논하는 데서 틀림없이 ‘어숙권이 지은 『패관잡기』가 사료의 창고’일 것이라고 여겼다.”라고 하면서, 『패관잡기』 전편을 보기를 고대하다가 친구 이치수(李穉粹)에게서 완질을 얻어 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그만큼 조선 전기 패관문학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으며, 조선 전기의 사실(史實)을 이해하는 데 요긴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원전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논문

강구율, 「『패관잡기』의 체제와 편찬의식」(『동방한문학』 15, 동방한문학회, 1998)
이수인, 「『패관잡기』 연구 시론-『한고관외사』본 『패관잡기』 완본의 발굴 보고를 겸하여」(『한문학논집』 18, 근역한문학회, 2000)
정용수, 「『한고관외사』의 체제와 일실된 작품들의 존재」(『남명학연구』 23,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7)
주석
주1

훈공이 장부나 문서에 기록되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의 학자 김려(金鑢)가 편찬한 야사(野史) 전집. ≪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를 교정하고 필사하여 책 이름을 바꾼 것이다. 468권 200책. 우리말샘

주3

한 질을 이루고 있는 책에서 권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책. 우리말샘

주5

책 따위를 인쇄하여 발행하다. 우리말샘

주7

중국 차오저우(潮州), 취안저우(泉州)의 동쪽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나라. 지금의 대만(臺灣) 또는 류큐(琉球)라는 설이 있다. 우리말샘

주8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사적(事跡). 우리말샘

주10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사는 선비. 우리말샘

주11

먹을 가지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사람. 우리말샘

주12

재주가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15

불가에 재물을 연보하다. 우리말샘

주16

진창에 고여 있는 더러운 물. 우리말샘

주18

낡은 헝겊을 모아 기워 만든 승려의 옷.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