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항공대학 실습장
한국항공대학 실습장
단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이칭
이칭
한국항공대, 항공대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연원 및 변천

한국항공대학교는 민항공(民航空) 분야의 개척을 위한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1952년 6월 16일 부산시 동구 초량동의 교통고등학교에 부설된 2년제 항공과가 그 시초이다. 1953년 2월 수업연한 3년의 국립항공학교로 독립하여 초대 교장에 김윤기(金允基)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10월 서울 수복에 따라 서울 용산구 한강로에 교사를 마련하여 이전하였고, 11월 수업연한 4년의 국립항공대학으로 개편, 초대 학장에 송효경(宋孝卿)이 취임하였다. 1958년 기관과와 통신과를 각각 기체기관과와 통신전자과로 개칭하였고, 1959년 통신전자과를 통신관제과와 응용전자과로 분리, 개편하였다.

1963년 국립항공학교로 다시 개편, 입학자격을 일반 이공계 대학 2년 수료자 또는 초급대학 졸업자로 규정하여 대학 3ㆍ4학년 과정의 2년제 대학으로 개편하였고, 같은 해 11월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65년 「국립학교설치령」에 따라 정규 4년제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8년 12월 운영권이 교통부 산하에서 문교부로 이관됨에 따라 교명을 한국항공대학으로 개칭하고, 운항관리학과ㆍ정비공학과ㆍ항공통신공학과ㆍ항공전자공학과로 편성하였다. 1971년 정비공학과를 항공기계공학과로 변경하였다가 이듬해에 항공운항학과와 항공관리학과로 분리하였다.

1979년 1월 정부의 항공대학 육성 방침에 따라 주식회사 대한항공에서 학교법인 정석학원(靜石學園)을 설립, 학교를 인수하였다. 1987년 대학원에 박사과정을 개설하였고, 1993년한국항공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5년 사회교육원을 개원하였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마음과 몸매를 맑게, 학문과 창의를 넓게, 화합과 단결을 굳게’이다. 항공과학의 기술 및 운용에 관한 학술적 이론과 응용방법을 연구ㆍ교수하고, 민항공산업을 발전시킬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학부ㆍ대학원ㆍ부설연구기관의 항공우주 특성화 프로그램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부설교육기관인 비행교육원은 국토해양부로부터 항공분야 전문교육기관 인가를 받아 항공운항학과 학생들과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생들에게 민ㆍ군 조종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행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국제교류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ty of Southern California), 캐나다 맥길대학교(MacGill Universty), 중국 베이징항공항천대학, 일본의 교토대학 등 해외 44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맺고 연수, 학술교류 등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5월 은익대동제를 열고 있고, 40여 개의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대학신문 『항공대학보』을 발행하고 있다.

현황

2009년 현재 2개 대학원, 3개 단과대학(학부 3, 학과 5)에 학부생은 4,228명, 전임교원은 140명이다. 부속기관으로 중앙도서관ㆍ생활관ㆍ항공우주박물관ㆍ비행교육원ㆍ항공기술교육원 등이 있고, 부설연구기관에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ㆍ항공전자연구소ㆍ경영연구소ㆍ항공산업정책연구소ㆍ기초학문연구소 등이 있다.

중앙도서관은 900여 석의 열람석을 갖추고서 항공우주 분야의 전문도서 및 e-book을 포함한 27만여 권의 장서와 355여 종의 정기간행물, 6,000여 종의 전자저널을 보유하고 있다. 생활관의 수용인원은 450여 명이다.

항공우주박물관은 지상 2층 규모에 항공역사ZONEㆍ체험ZONEㆍ가상체험관ㆍ미래우주ZONEㆍ멀티미디어관ㆍ항공대ZONE과 별도의 옥외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공우주과학 분야에 대한 국내ㆍ외의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여 전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대학연감 2010』(한국대학연감편찬위원회, 2009)
『한국고등교육연구』(김기석, 교육과학사, 2008)
한국항공대학교(www.kau.ac.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철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