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모시짜기 (모시짜기)

목차
관련 정보
한산모시짜기 모시삶기
한산모시짜기 모시삶기
의생활
개념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 모시 직조 기술.
내용 요약

한산모시짜기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 모시 직조 기술이다. 한산은 안개가 잦고 습도가 높아 질 좋은 모시풀의 재배와 모시 제직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가졌다. 한산모시는 조선시대에 들어 한산의 특산품으로서 본격적으로 언급되었고, 현재까지도 모시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다. 한산모시짜기는 1967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4호로, 2011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한산모시짜기는 ‘태모시 만들기’, ‘모시 째기’, ‘모시 삼기’, ‘모시 날기’, ‘모시 매기’, ‘꾸리 감기’, ‘제직’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 모시 직조 기술.
내용

한산모시의 기원은 백제 때 건지산에서 야생의 주1를 재배하여 그 껍질을 벗겨 실을 만들어 천을 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건지산은 행정 구역상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 속하는데, 서해와 금강을 끼고 있어 안개가 잦고 습도가 높아 질 좋은 주12 재배와 제직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가졌다.

한산모시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전국으로 명성을 떨쳤다. 저마는 생육 환경이 까다로워 서천과 충청도 지역, 전라도 일부에서 재배되었는데, 충청도에서 생산된 모시가 품질이 우수해 일대의 특산품으로 여겨졌다. 1469년(예종 1)의 『예종실록』에 따르면 당시 한산과 임천의 생저(生苧)를 주2 주3로 상정하였다. 또 1751년(영조 27)에 실학자 이중환(李重煥)이 저술한 『택리지(擇里志)』 북거총론편에는 각 지역의 특산물이 열거되어 있는데, 그중 ‘한산과 임천의 모시밭’이 언급되어 있다. 18~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저산팔읍(苧山八邑), 즉 서천을 비롯해 모시풀이 자라는 산이 있는 충청도의 여덟 개 고을에서 생산된 모시가 많이 유통되었다.

한산모시짜기의 과정은 ‘태모시 만들기’, ‘모시 째기’, ‘모시 삼기’, ‘모시 날기’, ‘모시 매기’, ‘꾸리 감기’, ‘제직’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주4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확한 모시풀의 마디를 꺾어 속대와 껍질을 분리한 후, ‘모시칼’을 이용해 껍질에서 섬유가 되는 속껍질을 벗겨낸다. 이렇게 껍질로부터 벗겨낸 속껍질을 ‘태모시’라고 한다. 모시풀은 환경에 민감하여 건조해지면 중간에 껍질이 끊어질 수 있는데, 끊어진 껍질로는 질 좋은 모시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태모시를 만드는 작업은 햇볕이 없는 새벽에 한다. 이렇게 새벽에 만들어진 태모시는 머리 쪽을 한 방향으로 모아서 한 주먹씩 묶은 뒤 은은한 햇볕에 말린다. 태모시를 골고루 잘 말려야 희고 맑고 광택이 좋은 모시를 얻을 수 있으며, 태모시를 잘못 말리면 검은 흠이 생기거나 색이 얼룩덜룩해져서 상품 가치가 떨어진다.

두 번째, 잘 말린 태모시는 헝클어지지 않게 감은 후 째기 좋도록 1~2시간 정도 물에 담근다. 그 후 엉키지 않게 머리 부분을 매듭지어 엄지에 감은 뒤, 한 가닥씩 풀어 이로 잘게 쪼개는데 이를 ‘모시 째기’라고 한다. 태모시를 얼마나 가늘고 균일하게 쪼개는지와 보풀의 유무에 따라 모시의 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모시 째기는 한산모시짜기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보풀의 정도는 모시를 째는 사람의 침 분비량과 성분에 따라 달라진다. 모시 째기가 끝나면 매듭지은 머리 부분에 엉키는 곳이 생긴다. 묶었던 머리 부분의 매듭을 풀고, 엉킨 곳을 입에 문다. 그 후 손에 물을 묻혀가면서 엉킨 부분에서 한 올씩 뜯어내고, 뜯어낸 모시올을 물에 적신다. 적신 모시올 부분을 도마처럼 생긴 ‘톱반’ 위에 올려 ‘모시톱’으로 훑어 매끈하게 만든다. 모시톱으로 훑은 부분은 참빗으로 빗어내어 한 올 한 올 분리가 잘 되도록 정리한다.

세 번째, 정리한 모시올 뭉치는 기둥 형태의 두 개의 ‘쩐지’에 걸쳐 놓은 뒤, 모시올 뭉치에서 한 올씩 빼내어 무릎에 올려 놓고 손바닥을 비벼서 두 올의 모시올을 하나로 삼아 모시실을 만든다. 비슷한 굵기의 모시올끼리 이어주어야 하므로 굵은 올은 다시 가늘게 째서 굵기를 조절해준다. 삼은 실은 광주리에 차곡차곡 쌓아 똬리처럼 동그랗게 감아 둔다. 한 개의 모시굿이 될 만큼 실을 삼으면 모시끈 두 개를 사용해 둥글게 감은 모시를 묶어 ‘모시굿’을 만든다.

네 번째, ‘모시 날기’는 직조하고자 하는 직물의 길이와 승수(升數)에 맞춰 모시굿을 풀어 경사로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하는 과정이다. 직물의 촘촘한 정도는 ‘승(升)’으로 나타내며, 1승은 80올의 경사를 의미한다. 승수가 커질수록 직물은 섬세해 지는데, 7~8승의 모시 한 필을 위한 경사로 10개의 모시굿이 필요하다. 모시 날기가 끝나면 경사 한 올 한 올을 바디 구멍에 꿰어 넣는 작업을 한다.

다섯 번째, ‘모시 매기’는 모시 날기가 끝난 경사에 콩풀로 풀을 먹이고, 도투마리에 감는 과정이다. 바디를 꿴 경사의 한쪽 끝을 주13에 매고 반대쪽 끝은 ‘끌개’에 묶어 경사가 팽팽해지도록 고정한 다음, 매기솔로 경사에 주6을 골고루 묻힌다. 콩풀이 마르면 경사를 도투마리에 말아 감는다.

여섯 번째, ‘꾸리 감기’는 주8로 사용할 주7를 만드는 과정이다. 꾸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모시굿의 실마리를 찾는다. 그다음 한 손에는 대나무 가락을 쥐고, 다른 한 손에는 모시실을 쥐어서 실을 가락에 둘둘 감아 꾸리를 만든다. 만든 꾸리는 북에 끼운다.

일곱 번째, 주9와 위사가 모두 준비되면, 베틀을 조립하여 제직 준비를 한다. 경사가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에 설치하면, 기술자는 주10을 발로 잡아당겨 제직을 한다. 베틀신끈을 발로 잡아당기면 경사가 벌어지고, 벌어진 틈에 꾸리가 끼워진 북을 좌우로 보내 모시를 제직한다. 제직이 끝난 모시 직물은 물에 씻어 콩풀을 모두 빼내고, 잘 말린 뒤에 보관한다. 콩풀을 빼지 않으면 직물에 곰팡이나 벌레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한산모시짜기 기술은 여성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왔다. 한산모시를 생산하는 여성은 대부분 14, 15세부터 어머니나 시어머니로부터 모시짜기 기술을 배워 소득을 창출함으로써 가계 경제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모시의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모시를 짤 수 있는 기술자들도 점차 줄어들었다. 모시짜기 기술자의 보호 및 전승을 위해 1967년에 한산모시짜기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고, 문정옥(文貞玉)을 한산모시짜기 기능 주11로 지정하였다. 또 2000년에는 방연옥(方連玉)을 기능 보유자로 지정하였으며, 2011년에는 한산모시짜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16년에는 문정옥 기능 보유자가 별세하여 2022년을 기준으로 한산모시짜기 기능 보유자는 방연옥이 유일하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삼국지(三國志)』

단행본

심연옥, 『한국직물오천년』(고대직물연구소출판부, 2002)
권영숙, 『한산모시짜기』(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모시짜기』(국립문화유산원, 2017)
『한국의식주생활사전-의생활』(국립민속박물관, 2017)

논문

김보연, 「동아시아 전통모시를 통해 본 한산모시 제직 특성 및 작품제작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김성희·조효순, 「우리나라 저마공예와 한산모시 길쌈에 대한 재고찰」(『한복문화』 3-3, 한복문화학회, 2000)
박윤미, 「한·중·일 전통 모시 직조의 비교 고찰」(『한복문화』 18-1, 한복문화학회, 2015)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1~2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잎의 뒷면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여름 가을로 누런색의 잔꽃이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줄기의 껍질에서 섬유를 뽑아 여름 옷감, 선박의 밧줄, 어망 따위를 만든다. 밭에서 재배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그 지방에서 특유하게 나는 물품. 우리말샘

주3

신령이나 부처 앞에 바치는 물건. 우리말샘

주4

모시를 짜기 위해 속껍질만 남긴 모시풀. 모시풀 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낸 후 물에 불리기와 볕에 말리기를 반복하여 만든다. 우리말샘

주6

콩을 갈아서 쑨 풀. 우리말샘

주7

둥글게 감아 놓은 실타래. 우리말샘

주8

천이나 그물을 짤 때, 가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9

천이나 그물을 짤 때, 세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10

배틀신대의 끝과 베틀신을 잇는 끈. 우리말샘

주11

국악이나 민속 공예 따위에 기능을 지니고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12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1~2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잎의 뒷면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여름 가을로 누런색의 잔꽃이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줄기의 껍질에서 섬유를 뽑아 여름 옷감, 선박의 밧줄, 어망 따위를 만든다. 밭에서 재배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3

베를 짜기 위해 날실을 감아 놓은 틀. 베틀 앞다리 너머의 채머리 위에 얹어 두고 날실을 풀어 가면서 베를 짠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