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승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경대승이 정중부 세력을 제거할 때 참여한 견룡군 출신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80년(명종 10)
본관
미상
주요 관직
태자부 지유별장
내용 요약

허승은 고려 후기 경대승이 정중부 세력을 제거할 때 참여한 견룡군(牽龍軍) 출신 무신이다. 1179년(명종 9) 견룡군의 일원으로 경대승을 보필하며 정중부 세력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허승은 태자부 지유별장이 되었다. 이후 허승은 거만하여 방자하게 굴었는데, 정변 다음 해에 경대승이 그를 의심하고 꺼려 자기 집으로 불러 죽였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 경대승이 정중부 세력을 제거할 때 참여한 견룡군 출신 무신.
주요 활동

허승(許升)은 견룡(牽龍)으로 용기와 힘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사람들이 복종하였다고 한다. 이에 따라 무신정권 최고 주1 정중부(鄭仲夫)의 아들 정균(鄭筠)이 허승을 좋아하였고, 경대승(慶大升)과도 친한 사이였다.

허승의 행적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1179년(명종 9) 경대승과 함께 정중부 세력을 제거한 것이었다. 경대승은 평소 정중부가 하는 짓을 분하게 여겼고, 정중부의 아들 정균이 공주에게 장가들기를 몰래 도모하므로 왕이 이를 근심하였다. 이에 경대승이 허승을 회유하여 같이 정변을 모의하였다.

경대승에게 허승의 협력이 필요하였던 것은 그가 주2이라는 왕의 친위군이라는 점이었다. 이를 통해 왕을 측근에서 호위하는 견룡군을 동원하기 쉬웠을 것이고, 한편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왕의 행차 등 모든 정보를 사전에 입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허승은 정균과도 매우 친밀한 관계였으므로 별다른 의심 없이 그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 거사 당일 경대승 세력은 허승이 먼저 정균을 숙직실에서 죽인 것을 기회로 정중부 세력을 대거 제거하였다.

이 공로로 허승은 태자부(太子府) 지유별장(指諭別將)이 되었다. 이후 그는 정변의 공로를 믿고 거만하여 방자하게 굴었고, 몰래 불량배〔악소(惡小)〕를 길렀으며, 또한 동궁(東宮)을 가까이 모시면서 뒷벽에 누워서 밤새도록 노래를 부르고 피리를 불어 안하무인격이었다. 이에 정변 다음 해에 경대승이 그를 의심하고 꺼려 자기 집으로 불러 죽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논문

신호철, 「경대승정권의 성립」(『역사와 담론』 67, 호서사학회, 2013)
주석
주1

정권을 잡고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2

고려시대 경군(京軍)의 2군 6위 중의 하나로, 용호군(龍虎軍)이라고도 하며, 주로 왕실의 친위군(親衛軍) 또는 시위군(侍衛軍)의 임무를 띠었다.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