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랫말은 4언10구의 한시로 익조(翼祖)와 도조(度祖)가 대를 이어 고려 임금을 충성으로 섬겨, 고려 임금이 그를 총애하고 가상히 여겼음을 노래한 것이다.
임종궁(林鐘宮) 평조(平調)의 5음음계이다. 박(拍)은 노랫말 한구마다 한번씩 들어가고, 악보로는 한행에 두번씩 들어가 10박 5행으로 되어 있으며, 2박 넷이 합쳐져 한 장구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장구형은 보태평지악과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보태평지악의 「의인(依仁)」·「보예(保乂)」·「융화(隆化)」·「역성(繹成)」과 정대업지악의 「개안(凱安)」·「휴명(休命)」·「화태(和泰)」·「영관(永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형광」에 나타나는 빠른 장식음은 「화태」 및 「영관」과 더불어 향악의 특색을 이루고 있다. 「형광」의 악보는 5행으로 기수의 행으로 되어 있으나, 전반과 후반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제1·2·3행이 전반이고, 제4·5행이 후반이다. 이렇게 둘로 나눌 수 있는 것은 세조가 이 「형광」의 첫 3행만 잘라 쓴 사실로 알 수 있다. 악보는 『세종실록』에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