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 ()

목차
관련 정보
형광
형광
국악
작품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중 네번째 곡인 제3변(第三變).
목차
정의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중 네번째 곡인 제3변(第三變).
내용

노랫말은 4언10구의 한시로 익조(翼祖)와 도조(度祖)가 대를 이어 고려 임금을 충성으로 섬겨, 고려 임금이 그를 총애하고 가상히 여겼음을 노래한 것이다.

임종궁(林鐘宮) 평조(平調)의 5음음계이다. 박(拍)은 노랫말 한구마다 한번씩 들어가고, 악보로는 한행에 두번씩 들어가 10박 5행으로 되어 있으며, 2박 넷이 합쳐져 한 장구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장구형은 보태평지악과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보태평지악의 「의인(依仁)」·「보예(保乂)」·「융화(隆化)」·「역성(繹成)」과 정대업지악의 「개안(凱安)」·「휴명(休命)」·「화태(和泰)」·「영관(永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형광」에 나타나는 빠른 장식음은 「화태」 및 「영관」과 더불어 향악의 특색을 이루고 있다. 「형광」의 악보는 5행으로 기수의 행으로 되어 있으나, 전반과 후반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제1·2·3행이 전반이고, 제4·5행이 후반이다. 이렇게 둘로 나눌 수 있는 것은 세조가 이 「형광」의 첫 3행만 잘라 쓴 사실로 알 수 있다. 악보는 『세종실록』에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종묘제례악의 음악적고찰」(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변미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