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변(第三變)에 속한다. 일무(佾舞)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아뢴다.
원래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만들어진 보태평지악의 제3변인 「형광(亨光)」을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하면서 음악을 축소하고 곡명을 바꾼 것이다.
노래말은 익조(翼祖)와 도조(度祖)가 대를 이어 고려 임금을 섬기니, 고려 임금이 그들을 사랑하고 가상히 여겼다는 내용으로 원래 4언 10구의 한시였으나 세조 때 4언 6구로 축소되었다.
곡명은 노래말 가운데 ‘대형이가(大亨以嘉)’에서 온 것이다. 노래말의 번역문과 원문은 다음과 같다.
(아아 위대하고 거룩하신 익조께옵서는
그 임금에게 잘 복종하고
거룩하신 도조께서도 그 뜻을 이으시니
신임을 독실히 받았도다
넓게 창달하심을 아름다움으로써 하시니
크신 천명이 따르시었도다
於皇聖翼 祗服厥辟 聖度繼志 眷倚斯篤 大亨以嘉 景命維僕).
원래의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에서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박(拍)은 노래말 매구에 한 번 나왔고, 장고형은 크게 박 넷이 모여 하나를 이루어 반복했으나 지금은 모두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세종실록』악보에「형광」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에「형가」의 악보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