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지 일원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운주사지 석탑
화순 운주사지 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운주사의 사찰터. 사적.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운주사의 사찰터. 사적.
내용

면적 49만7088㎡. 1985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497,090㎡. 나지막한 야산협곡의 분지에 위치한 운주사지에는 반경 200m 범위내에 석불 70여 구와 석탑 12기가 유존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 도선(道詵)이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千佛千塔)을 쌓았다고 전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사료는 없고,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능성현조(綾城縣條)에 “雲住寺在千佛山寺之左右山背石佛塔各一千……(운주사재천불산사지좌우산배석불탑각1천……)”이라는 내용이 보인다.

또, 1632년(인조 10)의 《능주목지 綾州牧誌》에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보이고 있는데, 후미의 “雲住寺今廢(운주사금폐)”라는 기록으로 보아 1632년 이전에 한 차례 폐찰되었던 것 같다.

1984년 발굴조사 때 새로운 건물지와 각종 기와조각과 자기조각 등이 출토되어 운주사의 창건은 물론 천불천탑 조성을 규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때의 출토유물은 고려초의 햇무리굽청자조각(2개) · 순청자접시조각(20여개), 그리고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이다.

이 유물의 연대가 10, 11세기경으로 추정되어, 운주사의 창건이 고려 초기로 소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 고려 중기의 상감청자 약 100여 조각, 14, 15세기경의 청자류 350여 조각이 출토됨으로써 운주사가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하였던 사찰이었음을 입증하였다.

특히, 홍치8년명(弘治八年銘, 1495)의 기와조각 출토는 운주사가 15세기 말에 크게 중창되었다가 그 뒤 정유재란으로 인하여 폐찰되었음을 알게 하였다.

운주사가 고려 중기 이후 번창하였음은 현존 유적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곳에 산재한 석불 · 석탑이 12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데다 고려시대의 지방적인 특색이 가장 잘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주사지는 불교미술사 또는 불교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예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운주사』(전남대학교박물관, 1984)
『문화재도록』(전라남도, 1987)
집필자
성춘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