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신중 ()

목차
불교
개념
『화엄경』을 호지하고 받드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화엄경』을 호지하고 받드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신중은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따르는 사람들로서, 불교를 지키고 배우는 자들에 대한 통칭이다. 대개 불경의 첫머리에 나오는 설법장의 청중들인데, 『화엄경』에는 7,000여명의 보살이 그 소임을 맡고 있다. 그들은 지상(地上)과 천상(天上)을 오가며 『화엄경』의 이상을 펼치는데, 이것은 대승불교의 문학적 상징성을 대변하고 있다. 즉, 세계의 중심을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로 대변하고, 그 깨달음이 ‘빛’으로 상징된다. 신중들은 깨달음을 본질로 한 삼라만상을 나타낸다. 그것을 ‘일조생맹(日照生盲)’이라고 하는데, 빛의 고마움을 모르는 장님들에게도 빛은 어김없이 비친다는 은유(隱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화엄신중을 구체화시켜 신봉하였는데, 그 대표적 실례가 오대산(五臺山)의 화엄예참(華嚴禮懺)이다. 오대산에는 5만의 진신(眞身)이 상주하며, 그 진신은 36가지로 변화한다고 믿었다. 이 신행은 8세기 후반에 이르면 확고한 신라불교의 주류로서 등장한다. 그것은 신라불국토설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그 중앙에 있는 화엄신중의 중요성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화엄경(華嚴經)』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