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원창은 고려 및 조선 시대에 남한강 수계(水系)인 현 강원도 원주시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이다. 고려시대 전국에 설치된 13조창 가운데 하나로 양광도 소속의 원주와 그 주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조선왕조 개창 이후 흥원창(興原倉)이라고 하였다. 판관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조선은 원주와 평창, 영월, 정선, 횡성 등 9개의 조창에서 세곡을 수납하여 조운으로 경창에 운반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군현별 조운이 일반화되면서 조창 기능은 사실상 소멸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13조창을 설치하고 조운(漕運)을 통하여 각 지방의 세곡을 개경으로 운반하였다. 흥원창(興元倉)은 고려 초기에 설치한 전국 12조창 중 하나로, 현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 지역에 위치하였다.
고려 초기인 992년(성종 11) 개경까지의 수경가(輸京價, 조운선의 운반 비용)를 정할 때에, 세곡 6석에 1석의 비용을 지불하는 포구 중 은섬포〔銀蟾浦, 이전 명칭은 섬구포(蟾口浦)〕가 흥원창이 있던 포구로 파악된다. 은섬포는 평원군(平原郡)에 위치했다고 하는데, 평원은 원주의 별칭이다. 고려시대 흥원창은 원주의 관할 하에 있었으며, 흥원창의 수세(收稅) 구역은 원주와 그 주변 속군현(屬郡縣) 지역이 중심이 되었을 것이다.
『고려사』에는 정종(靖宗) 때(1034~1046) 전국 각 조창에 배치할 조운선의 숫자를 정하면서, 흥원창에는 1척 당 2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평저선(平底船) 21척을 두었다고 한다. 흥원창에 모인 세곡은 한강을 따라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되었다.
흥원창을 비롯한 13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13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 때(1122~1146)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 규정에 따르면, 13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녹봉이 지급되었다.
조창은 반란 세력이나 외적의 주요 공격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1257년(고종 44)에는 원주에서 봉기를 일으킨 안열(安悅)의 무리와 관군 사이에 전투가 흥원창에서 벌어져, 관군이 대승을 거두었다. 1291년(충렬왕 17) 원충갑(元沖甲) 등이 원주에서 몽골 카단〔哈丹〕의 무리를 격파하였을 때, 흥원창판관 조신(曹愼)이 큰 활약을 펼친 바 있었다.
조선왕조 개창 이후에도 흥원창은 그대로 조창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단, ‘흥원창(興元倉)’ 대신 '흥원창(興原倉)'이라는 표기가 일반화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전국 9개 조창 중 한 곳으로 흥원창이 명기되어 있으며,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흥원창에서 원주와 평창, 영월, 정선, 횡성 등의 세곡을 수납하여 조운으로 경창에 운반한다고 서술되어 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는 서울과 지방의 선박을 관장하는 관청인 전함사(典艦司)에 수운판관(水運判官) 2명이 소속되었다. 2명의 수운판관은 좌도(左道) 수운판관과 우도(右道) 수운판관 각 1명씩으로, 한강 수계에 있는 흥원창은 충추 가흥창 및 춘천 소양강창과 함께 좌도 수운판관의 관할 구역인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었다. 좌도 수운판관은 종5품의 관직이었으며, 무록관(無祿官)에 해당하였다.
소양강창이 소속되어 있는 경기 좌도의 조세 운반선은 모두 51척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세곡의 관선(官船) 조운 대신에 민간 선박에 의한 임운(賃運)의 방식이 확대되고 몇몇 지역에서 세곡의 납부가 면포나 동전의 납부로 대체되면서 흥원창의 조창 기능은 소멸하였다.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지리서인 『여지도서』에는 원주에 위치한 5곳의 창고 중에 서창(西倉)이 흥원(興原)에 있다고 하여, 흥원창이 조창이 아니라 원주의 지역 창고 중 하나로 변모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19세기 중반에 편찬된 법전인 『대전회통』에는 영산창(榮山倉), 소양강창(昭陽江倉), 조읍포창(助邑浦倉) 등과 함께 흥원창이 이미 조창의 역할을 상실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흥원창은 고려시대 전국에 설치된 13조창 중 하나이자 조선 전기 9조창 중 하나로서, 원주와 그 주변 지역의 세곡을 수납하여 경창으로 운송하는 남한강 수계의 대표적인 조창이었다. 고려와 조선시대 모두 남한강 수계에는 원주와 충주에 조창이 설치되었는데, 그 중 원주에 위치한 조창이 흥원창이었다. 다만 고려시대에는 흥원창(興元倉)이라는 명칭이, 조선시대에는 흥원창(興原倉)이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조창 조운 대신 군현별 조운이 일반화되면서 18세기가 되면 흥원창의 조창 기능은 사실상 소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