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영조(재위 1725∼1776, 조선 제21대 왕)가 친정(親政)을 한 후 시구를 내리자, 입시한 신하들이 어제에 화답하여 지은 시를 바친[賡進] 내용으로, 당시의 어제와 참여자들의 시를 첩으로 제작하여 참여자들에게 1건씩 분사(分賜)한 것 중의 하나이다.
본 갱진첩은 당시 승정원 주서였던 유익지(柳翼之, 1733~1786)가 받았던 것으로, 충주시 문화동 소재 전주유씨(全州柳氏) 낙봉공파(駱峰公派) 종중에 소장되어 있다. 2005년 1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나 대상 문화유산 도외 지역으로 관리 이전에 따라 2012년 10월 지정 해제되었다.
해서체로 필사된 9폭의 시를 1첩(帖)의 첩장본(帖裝本)으로 제작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33.5㎝ 가로 23.5㎝이며,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친정은 임금이 직접 행하는 정치 또는 인사행정을 의미는 것으로, 도목정사(都目政事)라고도 한다. 갱진(賡進)은 임금이 지은 시구에 화답하는 시를 적어 임금에게 바치던 일을 말한다.
이 갱진첩은 1770년(영조 46) 6월 20일(갑오일)에 왕이 친히 집경당(集慶堂)에 나아가 심관(沈鑧) · 이적보(李迪輔) · 이우철(李宇喆) · 여선형(呂善亨) · 노성중(盧聖中) 등의 도목정사를 행하고 “차정복금기여료(此政復今豈予料, 이 정사 다시금 회복될 줄 내 어찌 헤아렸으랴), 수단친점모년심(隨單親点暮年心, 단자마다 친히 점검하는 늙은이의 마음이로다)”라는 칠언시(七言詩)를 친제하여 내리고, 입시한 여러 신하에게 화답시를 짓게 하고 음식을 내린 내용이다.
이때 어제에 갱진한 인사로는 병조판서 원인손(元仁孫, 1721∼1774), 이조판서 박상덕(朴相德), 이조참판 정존겸(鄭存謙, 1722∼1794), 승정원 도승지 김종정(金鍾正), 병조참판 송문재(宋文載, 1711∼?), 이조참의 김상익(金相翊), 병조참의 변득양(邊得讓, 1723∼1801), 승정원 승지 김치공(金致恭), 병조참지 신경준(申景濬, 1712∼1781), 이조정랑 김광악(金光岳), 병조정랑 송덕기(宋德基), 병조정랑 조시겸(趙時謙), 이조좌랑 윤면승(尹勉升), 이조좌랑 홍빈(洪彬), 병조좌랑 이만식(李萬軾), 병조좌랑 어석령(魚錫齡), 승정원 주서 임희우(任希雨), 예문관 검열 오정원(吳鼎源), 예문관 검열 유의(柳誼), 그리고 승정원 주서 유익지 등 20인이다.
영조가 친정에 임한 정치적 내용뿐만 아니라, 영조의 친필이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당시의 정치 및 인물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