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왕상 ()

목차
관련 정보
영광 불갑사 명부전 지장보살상 및 시왕상
영광 불갑사 명부전 지장보살상 및 시왕상
조각
개념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인 시왕의 조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시왕상은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인 시왕의 조각이다. 진광왕·초강왕·송제왕·오관왕·염라대왕 등 10명의 조각상을 가리킨다. 사후 명부로 가는 도중에 이 왕들 앞을 지나면서 재판을 받는다. 우리나라에서 시왕에 대한 조상 활동은 고려에 들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에는 명부전 내에 시왕상이 봉안되며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 각 왕은 수염을 쓰다듬고 경전을 읽고 명부를 펼쳐 들고 있는 등 다양한 모습이다. 시왕상은 보통 소상이나 목조상으로 조성된다. 현재 불갑사 명부전 시왕상 등 다수의 작품이 전하고 있다.

목차
정의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인 시왕의 조각.
개설

시왕은 명부에서 죽은 자의 죄업을 심판하는 10명의 대왕인 진광왕(秦廣王) · 초강왕(初江王) · 송제왕(宋帝王) · 오관왕(五官王) · 염라대왕(閻羅大王) · 변성왕(變成王) · 태산왕(泰山王) · 평등왕(平等王) · 도시왕(都市王) · 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

『예수시왕생칠경』(預修十王生七經)에 의하면 망자는 사후 명부로 가는 도중에 초칠일(初七日)에는 진광왕, 이칠일(二七日)에는 초강왕, 삼칠일(三七日)에는 송제왕, 사칠일(四七日)에는 오관왕, 오칠일(五七日)에는 염라왕, 육칠일(六七日)에는 변성왕, 칠칠일(七七日)에는 태산왕, 100일째는 평등왕, 1년째는 도시왕, 3년째는 오도전륜왕 등 차례로 10명의 왕 앞을 지나면서 재판을 받는다. 시왕에 대한 개념은 인도 당말 오대(10세기) 『예수시왕생칠경』의 편찬에 따라 성립되어 10세기경에는 시왕경변상도(十王經變相圖)가 나타나는 등 당나라 이후 시왕 신앙이 성행하였다.

내용

우리나라에는 삼국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시왕신앙이 전해진 것으로 생각되지만 통일신라시대까지는 시왕상이나 시왕도 등이 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왕에 대한 조상활동은 고려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목종대(997-1009) 김치양(金致陽, ?-1009)이 궁성 서북쪽에 시왕사를 세운 사실, 1102년 흥복사(興福寺)에 건립된 시왕당(十王堂)의 완성을 축하하기 위하여 숙종이 왕비, 세자와 함께 그곳에 갔다는 기록 등 시왕신앙에 의한 사찰이 조성되었던 사실은 시왕상이 제작되어 봉안되었음을 추정케 한다.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금동시왕상(金銅十王像, 高 26.2cm)으로, 풍부하게 장식된 등이 높은 의자에 당당한 자세로 측면향을 한 왕과 대왕의 오른쪽에 합장을 한 동자상(童子像), 왼쪽에 사자상(使者像)이 시립(侍立)하고 있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명부전이 건립되면서 명부전 내에는 지장보살삼존상 좌우로 시왕상이 봉안됨에 따라 많은 작품이 조성되었다. 시왕상은 소조상(塑造像) 혹은 목조상(木造像)으로, 지장보살의 왼쪽으로는 홀수의 왕인 제1진광대왕, 제3송제대왕, 제5염라대왕, 제7태산왕, 제9도시대왕이, 오른쪽에는 짝수왕인 제2초강대왕, 제4오관대왕, 제6변성대왕, 제8평등대왕, 제10오도전륜대왕이 배치된다. 각 왕은 원유관(遠遊冠)이나 통천관(通天冠), 오량관(五梁冠) 같은 것을 쓰고 둥근 옷깃[團領]에 소매가 넓은 관복[大袖平服袍]를 입고 용두(龍頭)와 봉두(峰頭)로 장식된 의자 위에 앉아 홀을 들고나 수염을 쓰다듬기도 하고 경전을 읽고 명부를 펼쳐들고 있는 등 다양한 모습을 취한다. 소상(塑像)이나 목조상(木造像)으로 조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황

2020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불갑사 명부전 시왕상(1635년)을 비롯하여 2008년 보물로 지정된 여수 흥국사 목조시왕상(1648년), 2010년 보물로 지정된 진주 청곡사 목조시왕상(1657년) 등 17세기의 시왕상을 비롯하여 18, 19세기의 작품들이 다수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송림사 명부전 삼장보살상과 시왕상 연구」(김정희, 『강좌미술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6)
「삼막사 명부전의 도상연구」(김정희, 『강좌미술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3)
「송광사 명부전의 도상연구」(김정희, 『강좌미술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99)
「조선시대 명부신앙과 명부전 도상의 연구」(김정희, 『미술사학보』4, 미술사학연구회,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