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화 ()

고려시대사
인물
1258년(고종 45),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하여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에 책록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장군(將軍)
관련 사건
무오정변(戊午政變, 1258)
내용 요약

신윤화는 1258년(고종 45)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하여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에 책록된 무신이다. 무오정변은 김인준(金仁俊)과 유경(柳璥) 등을 중심으로 최씨 무신 정권의 4대 집정자 최의(崔竩)를 제거하여 왕정복고를 이룬 정변을 가리킨다. 이때 신윤화는 정6품의 낭장(郎將)으로서 참여하여 이들을 보좌하였고, 그 공로로 정4품의 장군(將軍)이 되어 몽골에 사신으로 가기도 하였다.

정의
1258년(고종 45),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하여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에 책록된 무신.
가계 및 인적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주요 활동

신윤화(辛允和)는 최씨 무신 정권(崔氏武臣政權)에서 무신으로 입신하였는데, 삼별초(三別抄) 소속으로 보인다. 1258년(고종 45) 3월에 별장(別將) 김인준(金仁俊, 김준(金俊)으로 개명)과 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 등이 중심이 되어 최씨 무신 정권을 붕괴시킨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하였다. 무오정변은 최의 정권(崔竩政權)의 정치 · 경제적 실정에 불만을 품은 여러 정치 세력이 결집하여, 4대 집권자인 최의(崔竩)를 죽이고 왕정복고를 이룩했던 역사적 사건을 말한다.

『문화유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에 수록된 「상서도관첩(尙書都官貼)」에 의하면 신윤화가 무오정변에 참여할 때의 관직이 정6품의 낭장(郎將)이었고, 김준과 유경 등 주동 인물을 보좌한 공로로 1258년 7월 차송우(車松祐) 등과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 성격의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 동력보좌공신(同力輔佐功臣))에 책봉되었다. 그 이후 장군(將軍)으로 승진하였다.

1260년(원종 1) 4월에는 장군으로서 대부소경(大府少卿) 장계열(張季烈)과 함께 쿠빌라이[홀필열(忽必烈), 세조(世祖)]를 위한 축수소(祝壽疏)와 공물(貢物)을 가지고 몽골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개평부(開平府, 현 내몽고자치구 석림곽륵맹(錫林郭勒盟) 정람기(正藍旗) 동쪽)에 나아가 주1를 드리자, 같은 해 3월 24일에 즉위한 주2는 고려가 가장 먼저 하례사(賀禮使)를 보내 왔고, 또 왕의 친조(親朝)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면서 후대하였다고 한다. 그해 8월에 귀국하였는데,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근래 태안 앞바다 마도(馬島) 해역에서 발굴된 마도3호선에서 나온 목간에 ‘신윤화시랑택상(辛允和侍郞宅上)’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어서, 고려 무신 집권기에 정4품의 장군이 같은 반열의 문반직인 시랑(侍郞)으로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상훈과 추모

1258년 7월 위사보좌공신 19인(혹은 20인)에 포함되었고, 1260년 6월 위사보좌공신 15인에 다시 책봉되어 포상 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상서도관첩(尙書都官貼)」(『문화유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

단행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마도3호선 수중발굴조사 보고서』(2012)
강재광,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경인문화사, 2011)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국학자료원, 1999)
홍승기 편, 『고려무인정권연구』(서강대출판부, 1995)

논문

강재광, 「고려 후기 문신 유경의 정치활동 연구」(『한국사연구』 193, 한국사연구회, 2021)
강재광, 「김준세력의 형성과 김준정권의 삼별초 개편: 고려무인집권기 김준정권 연구(一)」(『한국중세사연구』 36, 한국중세사학회, 2013)
강재광, 「최씨가 가노출신 정치인의 역할과 무오정변의 성격」(『한국사연구』 127, 한국사연구회, 2004)
정수아, 「김준세력의 형성과 그 향배: 최씨무인정권의 붕괴와 관련하여」(『동아연구』 6,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5)
허흥식, 「1262년 상서도관첩의 분석」(『한국학보』 27·29, 일지사, 1982)
野澤佳美, 「金俊の政變について」(『史正』 12, 1982)

기타 자료

마도3호선 출토 목간
주석
주1

축하하여 예를 차림. 우리말샘

주2

몽고 제국의 제5대 황제로 중국 원나라의 시조(1215~1294). 묘호(廟號)는 세조. 중국 이름은 홀필렬(忽必烈). 칭기즈 칸의 손자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하여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몽고인의 우월성을 강조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고려시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