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 족보 목판 ( )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 족보 목판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 족보 목판
출판
유물
문화재
1685년(숙종 11)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의 족보 목판.
목차
정의
1685년(숙종 11)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의 족보 목판.
개설

경주김씨(慶州金氏)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의 족보 주1은 1648년(인조 26) 무자보(戊子譜, 1648)를 완성한 후 1685년(숙종 11) 주2한 것으로 40매 중 23매만 전한다. 이 목판은 2009년 12월 4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는 고려 말 주3 김장유(金將有)가 충청도 보은으로 입향하면서 주4하기 시작하였다. 보은지역의 경주김씨는 7세에 이르러 크게 번성했는데, 충암 김정(金淨, 1486∼1521)과 그의 조카 사위 대곡 성운(成運, 1497∼1579)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판도판서공파의 초간 족보는 무자보라 전하나, 이때 간행되지 못하고 1685년(숙종 11) 목판으로 처음 주5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12대손 김현필(金鉉弼, 1638∼?)의 주6에 비로소 목판으로 인쇄하였다는 내용으로 알 수 있다.

목판의 서문에, 족보는 숭정기원후 21년인 무자년 정월에 완성하였고 일을 맡아 이룬 이는 전한공(典翰公) 김천우(金天宇)의 손자 얼손 김섭(金涉), 글을 쓴 이는 군수공(郡守公) 김천부(金天富, 1506∼1548)의 손자 김상(金鋿, 1607∼1674)이라 하였다. 발문은 1685년(숙종 11) 8월 판서공(判書公)의 12대손 김현필이 썼다.

특징

목판은 1648년(인조 26) 완성된 무자보를 1685년(숙종 11)에 판각한 것이다.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의 족보 자체가 희귀한 상태에서 족보 목판이 남아있다는 사실, 또 대곡성운의 수학처로 알려진 모현암(慕賢菴)에서 판각하여 보관한 사실 등이 전하고 있다.

현황

목판은 모두 40매로 보이는데, 현재 17매는 결실되고 23매만 전하며, 종손이 보관하고 있다. 결판된 17매 중 2매는 보은 법주사에 소장되어 있다. 목판은 가로 45.0㎝, 세로 28.6㎝, 두께 2.8㎝의 크기이다. 남아있는 목판은 장수를 기준으로 서(序) 45, 1・2, 4・6, 7・8, 9・10, 15・16, 17・18, 19・20, 23・24, 25・26, 29・30, 35・36, 37・38, 39・40, 41・42, 43・44, 56・57, 60・61, 64・65, 66・67, 70・71, 72・73, 76・78이다.

의의와 평가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 족보 목판은 비록 결판이 있지만, 17세기 족보 간행과 목판 인쇄술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나무에 글이나 그림 따위를 새긴 인쇄용 판(版). 우리말샘

주2

나뭇조각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김.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둔, 판도사(判圖司)의 으뜸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호부 상서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4

한 고장에 대대로 삶. 우리말샘

주5

책판(冊板)에 박아 냄. 우리말샘

주6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