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불교
문헌
문화재
청주 공림사에서 수륙재의 의식 절차를 수록하여 1573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11년 06월 03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정의
청주 공림사에서 수륙재의 의식 절차를 수록하여 1573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는 불교의 야외 법식인 수륙재의 의식 절차를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은 1573년(선조 6)에 충청도 청주 공림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2011년 6월 3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수륙재는 양(梁) 무제 때인 6세기 초반부터 열리기 시작한 불교의 야외 법회이다. 이 책은 송나라의 승려 지반(志磐)이 수륙재의 의식 절차를 정리한 것이다. 지반의 법호는 대석(大石)으로 복천사에 주석하면서 천태학을 연구하였다. 저서 중의 하나가 1270년(함순 6)에 편찬한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6권이다.

국내에는 주로 권6 중 권1만 수록한 영본(零本)이 유행하였는데, 이 책은 1573년(선조 6)에 충청도 청주목 관할인 속리산 자락의 공림사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표지가 결실되어 표제를 알 수 없으며, 권수제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을 통해 ‘번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임을 알 수 있다. 2장의 서문과 권수제가 포함된 1장이 표지와 함께 결실되었다. 1책(90장)으로, 사주쌍변의 반곽은 26.5×20.5㎝이고, 상하 대흑구와 상하내향 흑어미에 판심제는 '수륙문(水陸文)'이다. 반엽은 8행 14자로 계선이 있으며, 책의 크기는 38.4×24.5㎝이다. 권말제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이다. 마지막 장에는 ‘만력원년계유사월일 충청도청주토속리산공림사 개판(萬曆元年癸酉年四月日忠淸道淸州土俗離山空林寺開板)’이란 간기와 함께 시주질(施主秩), 각수질, 발원문이 붙어 있다.

내용

수륙재는 6세기 초반부터 열리기 시작한 불교의 야외 의식 중 하나로, 물이나 육지에 있는 고혼(孤魂) · 아귀(餓鬼) 등의 혼령들을 법식에 따라 평등하게 공양하여 그들을 구제하는 법회이다.

이 책은 수륙재에 대한 모든 의식과 절차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차례는 법단의 사방을 맑게 갖추어야 하는 이유 등 35편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간 사이에 진언(眞言)과 결수도인(結手圖印), 절차마다 외우는 염불(念佛)도 언급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권말제에 따라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와 체제와 목차가 흡사하여 혼동이 있으나, 항목이 더욱 자세하고 많은 편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판본은 16세기 초기를 넘지 않기 때문에 1573년(선조 6)에 공림사에게 간행한 이 책은 비교적 이른 시기의 판본으로 간행년과 간행처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강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