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金貞淑)은 「키스」라는 제목의 작품을 여러 점 제작하였는데, 1956년에 제작한 「키스」는 그 첫 번째 작품이다. 남녀 인물 사이에 공간을 두지 않고 서로 얼굴을 맞댄 모습의 닫힌 형태[close-form]는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si, 1876~1957)의 「키스」를 연상시킨다. 실제로 김정숙은 논문 「브랑쿠시의 예술세계와 추상의 의미」(『홍대논총』, 1973)를 발표했을 정도로 브랑쿠시의 작품세계에 깊은 관심이 있었다. 그러나 인물들의 전신을 기하학적 입방체로 단순화시켜 다소 둔탁한 느낌을 자아내는 브랑쿠시의 「키스」와는 달리, 김정숙은 얼굴 부분만을 선택해서 갸름하게 다듬고 표면에는 이목구비로 미묘한 변화를 주었다. 게다가 두상의 크기와 윤곽선의 변화로 남녀를 구별할 수 있게끔 표현했다.
이 작품은 김정숙이 미국 유학 중에 제작한 것으로, 세부적인 표현은 생략하고 덩어리의 볼륨을 살리는 방식으로 현대적인 조각을 모색하던 시절의 대표작으로, 구상조각의 추상화 과정이 외부의 영향 그리고 단순화의 어법이란 점을 증명하는 작품이다.
김정숙은 유학 중에 당시 미국에서 크게 유행하던 용접조각을 시도했으며 귀국 후에는 학생들에게 직접 용접조각을 가르치기도 했지만, 그 자신은 나무나 돌 같은 전통적인 재료를 다듬어 인체를 단순화시킨 추상조각을 선호했다. 이처럼 사물을 단순화시키고 유기적 형태와 조각의 덩어리에 생명력을 응축시키고자 했기 때문에 생명주의 조각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김정숙은 홍익대학 미술학부에서 조각을 전공하고, 1955년에 한국 조각가로서는 최초로 미국으로 건너가 조각을 공부했다. 1957년에 귀국하여 홍익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이후 1988년에 정년퇴임을 할 때까지 서구의 현대조각을 집중적으로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