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워있는 여인 (누워있는 )

목차
관련 정보
누워 있는 여인/김정숙
누워 있는 여인/김정숙
조각
작품
조각가 김정숙이 1959년에 나무로 여성 누드를 표현한 조각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각가 김정숙이 1959년에 나무로 여성 누드를 표현한 조각상.
개설

김정숙의 「누워 있는 여인」은 여성이 한쪽 팔로 머리를 받치고 비스듬히 누워 있는 모습을 표현한 조각으로, 인체의 기본적인 덩어리감을 살리는 방식으로 단순화시킨 반(半)추상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제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출품작으로, 1950년대 후반의 대표적인 추상조각이다.

내용

비스듬히 누운 여인상은 서구에서 비너스를 표현하는 전형적 방식이다. 김정숙의 이 작품은 누워 있는 여성 누드를 소재로 다룬 점, 인체를 유기적인 형상으로 단순화시킨 점, 그리고 덩어리의 중간에 구멍을 뚫어 공간을 표현한(negative volume) 점 등에서 헨리 무어(Henry Moore, 1898~1986)의 「와상」 연작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머리가 작게 표현되고 뚫린 공간이 크게 강조되는 헨리 무어의 조각상과는 달리, 김정숙은 머리와 가슴 부분을 둥글게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덩어리(mass)의 유기적인 연계성과 나무의 질감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정숙은 일제강점기에 이화여전을 다녔는데, 결혼과 함께 자퇴했다가 해방 이후 다시 홍익대학 미술학부에 편입하여 조각을 전공했다. 1953년에 홍익대학을 졸업하고 1955년에 한미재단의 주선으로 미국 유학을 다녀왔는데, 조각을 공부하기 위해 서구로 유학을 떠난 한국 최초의 인물이다. 대학에서 인체를 사실적으로 모델링하는 기법을 공부했던 김정숙은 미국에서 추상조각을 접하게 된다. 당시 미국에서는 특히 용접기법을 활용한 철 용접조각이 유행했는데, 귀국 후 1957년에 홍익대학교 조각과에 부임하여 철 용접조각을 비롯한 추상조각을 도입해 한국 현대 조각의 길을 열었다.

그러나 김정숙 자신은 나무, 돌, 청동 같은 전통적인 재료를 사용해서 유기적인 형상을 이루는 추상조각을 제작하는 데 몰두했다. 거칠고 즉흥성을 강조하는 용접조각보다는 오랫동안 형태를 탐구하고 사물의 본질적인 형상을 찾아내어 단순화시키는 조각 방법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누워 있는 여인」 역시 나무를 다듬어서 인체를 단순화시키는 방식으로 조각되었다.

참고문헌

『반달처럼 살다가 날개 되어 날아간 예술가 : 조각가 김정숙 삶과 예술』(김인회 엮음, 열화당, 2001)
「한국 근현대미술에서 ‘조각’개념과 그 전개」(김이순, 『한국근현대미술사학』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