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좌상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순운주사광배석불좌상(和順雲住寺光背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07월 13일 지정)
소재지
도암면 용강리 및 대초리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
내용

200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운주사의 석불 가운데 하나로 유일하게 광배가 있어서 광배석불이라고 불린다. 광배와 불신을 하나의 돌로 파서 조각한 것인데 광배 윗부분은 파손되었다. 불상과 광배는 현재 사다리꼴처럼 보이지만 윗부분이 남아있었다면 밑변이 좁은 삼각형을 이루고 있었을 것이다. 광배 표면에는 선각으로 엉성하게 화염문을 새겼고, 대좌는 보이지 않는다. 대신 가부좌한 두 다리와 상체를 구분하도록 돌을 깎아서 다리가 마치 대좌처럼 보인다.

얼굴은 갸름한 타원형이며 운주사의 다른 불상들처럼 코가 오뚝하게 강조되었고, 귀는 길게 늘어졌으며 눈과 입술은 가는 선으로 윤곽만 간신히 새겼다. 육계가 분명한 머리에 나발의 흔적은 보이지 않아서 머리 부분은 통상적인 장승처럼 보인다. 평면적인 신체에는 입체감이나 사실적인 묘사가 없어서 더욱 장승같은 느낌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두 손은 가슴 앞으로 모아 설법인(說法印)을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은 마모로 인해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다. 다른 운주사의 불상처럼 편단우견(偏袒右肩) 형식으로 법의(法衣)를 입었으며 왼쪽 어깨에 걸쳐진 옷 주름은 일정한 간격의 평행선을 이루며 흘러내렸다. 주름의 각선은 좁고 얕다. 마치 별개의 석재를 붙인 것처럼 보이는 두 다리는 네모난 덩어리처럼 보이며 왼쪽 어깨에서 내려온 옷 주름이 다리까지 이어졌으나 선의 흐름은 불안정하다. 왼쪽 무릎 아래로는 상체와 반대 방향으로 옷이 흘러내린 것처럼 주름 선을 새겼다.

의의와 평가

딱딱한 블록을 쌓아올린 것 같은 신체 표현, 평면적인 인체와 옷의 처리, 아무런 표정이 없는 갸름한 얼굴, 사실성이 결여된 양감 표현에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대형 석불과 비슷한 인상을 준다. 머리와 신체만 명확하게 구분이 가고 입체감이 없는 장승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충청도, 전라도 일원에서 발달한 장승형 불상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운주사 자료집성』(황호균, 전남대학교박물관, 198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희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