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운주사의 석불 가운데 하나로 유일하게 광배가 있어서 광배석불이라고 불린다. 광배와 불신을 하나의 돌로 파서 조각한 것인데 광배 윗부분은 파손되었다. 불상과 광배는 현재 사다리꼴처럼 보이지만 윗부분이 남아있었다면 밑변이 좁은 삼각형을 이루고 있었을 것이다. 광배 표면에는 선각으로 엉성하게 화염문을 새겼고, 대좌는 보이지 않는다. 대신 가부좌한 두 다리와 상체를 구분하도록 돌을 깎아서 다리가 마치 대좌처럼 보인다.
얼굴은 갸름한 타원형이며 운주사의 다른 불상들처럼 코가 오뚝하게 강조되었고, 귀는 길게 늘어졌으며 눈과 입술은 가는 선으로 윤곽만 간신히 새겼다. 육계가 분명한 머리에 나발의 흔적은 보이지 않아서 머리 부분은 통상적인 장승처럼 보인다. 평면적인 신체에는 입체감이나 사실적인 묘사가 없어서 더욱 장승같은 느낌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두 손은 가슴 앞으로 모아 설법인(說法印)을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은 마모로 인해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다. 다른 운주사의 불상처럼 편단우견(偏袒右肩) 형식으로 법의(法衣)를 입었으며 왼쪽 어깨에 걸쳐진 옷 주름은 일정한 간격의 평행선을 이루며 흘러내렸다. 주름의 각선은 좁고 얕다. 마치 별개의 석재를 붙인 것처럼 보이는 두 다리는 네모난 덩어리처럼 보이며 왼쪽 어깨에서 내려온 옷 주름이 다리까지 이어졌으나 선의 흐름은 불안정하다. 왼쪽 무릎 아래로는 상체와 반대 방향으로 옷이 흘러내린 것처럼 주름 선을 새겼다.
딱딱한 블록을 쌓아올린 것 같은 신체 표현, 평면적인 인체와 옷의 처리, 아무런 표정이 없는 갸름한 얼굴, 사실성이 결여된 양감 표현에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대형 석불과 비슷한 인상을 준다. 머리와 신체만 명확하게 구분이 가고 입체감이 없는 장승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충청도, 전라도 일원에서 발달한 장승형 불상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