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영은사 사명당 대선사 진영 ( )

삼척 영은사 사명당대선사 진영
삼척 영은사 사명당대선사 진영
회화
유물
국가유산
1788년에 제작된 사명유정(四溟惟政)의 진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은사사명당대선사진영(靈隱寺四溟堂大禪師眞影)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나한조사도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로 176 (진부면, 월정사성보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88년에 제작된 사명유정(四溟惟政)의 진영.
개설

200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95.5㎝, 가로 65㎝. 강원도 삼척 영은사에 봉안되었던 사명당대선사진영은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화기는 없으나 진영 형식과 화풍으로 보아 1788년에 신겸(信謙)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과 특징

사명유정은 묘향산에서 서산휴정에게 법을 전수받아 수제자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이 발발하자 스승인 휴정을 대신하여 강원도 고성 건봉사에서 승병을 규합하여 승병장으로 활동하였다. 사명유정은 생전 금강산에 주석하였으며 해인사 홍제암에서 입적하였다. 사명의 제자들은 금강산을 중심으로 강원도와 경상도에 분포하였으며 진영을 모셔 그를 추모하였다.

삼척태백산영은사사적비(三陟太白山靈隱寺事蹟碑, 1830년)에 의하면, 사명대사의 명으로 영은사 대웅전, 팔상전을 비롯한 각종 전각과 천왕문, 범종루 및 요사 등을 세웠다고 한다. 영은사에서는 중창주인 사명대사를 위해 진영을 제작하여 사찰에 봉안하였다.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은 화기가 없어 제작 시기와 제작자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1788년에 신겸이 조성한 범일국사진영의 전신교의좌상과 형식과 표현이 유사해 같은 시기에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영 왼편에는 “대광보국숭록대부사명당대선사진영(大匡補國崇祿大夫四溟堂大禪師眞影)”이란 영제(影題)가 적혀 있다. 대광보국숭록대부는 정1품에 해당되는 품계로 당상관에 해당된다. 진영 속 사명대사는 등받이가 높은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두 발은 답대(踏臺) 위에 놓여 있다. 짙은 눈썹 아래 두 눈은 관조하듯 반쯤 감고 있으며 풍성하고 긴 수염이 얼굴과 상체를 덮고 있다. 사명대사는 실제로 수염을 길게 길렀으며 이는 그를 상징하는 표식이 되어 사명대사 진영에는 모두 긴 수염이 표현되어 있다. 청색 장삼과 붉은 가사를 입고 있으며 왼손에는 주장자를 잡고 오른손은 장염주를 살짝 쥐고 있다. 의자 등받이에는 불자(拂子)가 걸쳐 있다. 배경은 녹색 벽면과 화려한 문양의 화문석으로 이분화되어 있다.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 장삼과 가사의 표현, 주장자 · 장염주 · 불자의 모양을 비롯해 등받이천과 화문석의 문양 등은 범일국사진영과 동일한 모본을 사용했다고 할 정도로 유사하다. 특히 무릎 아래로 길게 내려온 팔과 커다란 손은 신겸만의 독특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사명대사진영이 승병장으로서의 기상을 주로 표현하였다면, 영은사 진영은 관조하는 눈에서 수행자로서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현황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은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안하여 보관 중이다.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아 제작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액자형 그림틀에 흰색과 녹색으로 마무리하는 조선 후기 장황 방식도 그대로이다. 다만 현재 보관을 위해 유리 액자로 다시 표구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사명당대선사진영은 사찰의 중장주를 받드는 조사 신앙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전하는 조선 후기 사명대사진영 가운데 승병장의 기세와 수행자의 면모를 살려 표현한 수작으로 미술사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김용태, 신구문화사, 2010)
『월정사성보박물관 도록』(월정사성보박물관, 2002)
『한국의 사찰문화재: 강원도』(문화재청·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2)
「퇴운당 신겸 불화와 승려문중의 후원」(이용윤, 『미술사학연구』269호, 한국미술사학회, 2011)
「퇴운당 신겸의 불화 연구」(박옥생,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용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