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경포대와 경포호 ( )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저동에 있는 호수인 경포호와 그곳에 자리한 누대.
유적/건물
건축 양식
이익공
건립 시기
1326년(고려 충숙왕 13)
규모
정면 5칸|측면 5칸
소재지
강원도 강릉시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江陵 鏡浦臺와 鏡浦湖)
분류
자연유산/명승/자연경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명승(2013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강릉시 저동 94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저동에 있는 호수인 경포호와 그곳에 자리한 누대이다. 경포호는 예로부터 뛰어난 자연경관으로 이름이 높았고, 경포대 일대는 관동팔경 중 하나로 꼽히며 문학과 회화의 중요한 제재가 되었다. 1326년(충숙왕 13) 박숙에 의해 창건되었고, 몇 차례 중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저동에 있는 호수인 경포호와 그곳에 자리한 누대.
건립 경위

경포호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저동에 있는 천연 호수로,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라고도 하였다. 강릉 홍제동에서부터 흐르는 죽일천, 성산면 위촌리에서 흐르는 경포천, 성산면 송암리에서 흐르는 운정천의 물줄기가 모여 만들어졌다.

강릉의 대표적인 승경으로 경포호 주위에는 경포대 외에도 활래정, 해운정, 금란정, 방해정, 호해정, 상영정, 창랑정, 경호정, 석란정, 취영정, 환선정과 같은 정자들이 있다.

경포대는 영동지방 팔경 중에서도 제일경으로 꼽는 경포호수의 뛰어난 자연경관과 잘 어울리는 곳에 있다. 안축이 지은 「경포대기」에 따르면 고려 충숙왕 13년(1326) 안렴사 박숙에 의해 처음 창건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경포대가 강릉부 동북 쪽 10리에 있고 옆에는 봉우리가 있으며 봉우리 위에 정자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변천

1508년(중종 3) 강릉부사 한급에 의해서 옛터에서 지금의 장소로 이건되었다. 따라서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은 이전하기 전, 현재 방해정의 뒷산인 시루봉에 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한 것이다.

1524년(중종 19)에는 화재로 소실되어 강릉부사 박광영이 중수하였으며, 1628년(인조 6)에는 강릉부사 이명준이 온돌과 양실을 철거하였다고 한다. 이후로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1897년(광무 1)에는 강릉군수 정헌시가 득월헌과 후선함을 설치하였다. 현재의 골격은 1628년 중수 때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형태와 특징

경포대는 정면 5칸, 측면 5칸으로 총 25칸 규모이다. 암반의 높낮이를 잘 활용하였으며, 공포는 이익공으로 다른 누정들과 차이가 없으며, 가구는 5량가이고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측면 칸수가 정면과 같이 5칸으로 하여 정방형으로 구성한 것은 매우 희귀한 일이다. 또한, 평면의 구성에서 전퇴칸은 모두 마루를 깔았는데 양쪽 퇴칸이 한 단 높으며, 그 뒤로는 정칸과 협칸은 마루를 깔았으나 양쪽 퇴칸은 마루 없이 흙바닥으로 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양쪽 퇴칸에 마루에 오를 수 있는 계단을 두었다.

규모가 있는 누정 건축에서 평면을 정방형으로 만들고 세 단계로 높이 차이를 두는 단면 구성은 다른 누정 건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일한 경포대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천연 호수인 강릉 경포호는 그 자체로서 보존 가치가 높은 명승이며, 여기에 세워진 경포대는 수백 년 간 문예의 제제가 되어온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건립과 중수 기록을 통해서 볼 때 경포대는 단순히 경치를 관람하고 풍악을 즐기기 위한 일반 누각이나 개인이나 문중의 독서 및 후학 양성을 위한 정자와는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이후로는 대부분의 중수가 강릉부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지방관의 안정적인 지역 통치를 위한 관영 누각으로 운영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많은 시인 묵객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유학자들의 심신 수련과 수려한 경관을 즐기며 감상하는 유식(遊息)의 용도로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1628년에는 온실과 양실을 철거하였는데, 이때부터 정자의 기능은 사라지고 누와 대의 기능이 강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포대는 오랫동안 변천해 오면서 기능과 용도가 다양하게 변화해 왔고, 건축적으로는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는 2013년 12월 30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릉경포대수리보고서』(강릉시, 2008)

논문

임호민, 「강릉 경포대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지방사와 지방문화』 14-1, 역사문화학회,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